일본에 의류 및 신발을 판매하려는 사람인데 관세에 대해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일본에 의류 및 신발을 판매하려는 사람입니다.
처음 이걸 접하고 알아본 결과 각 품목에 Hscode가 붙고 그 코드에 따라 관세가 부여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은
제가 사려는 제품의 Hscode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이게 가죽인지 아니면 합성 피혁인지 알수가 없으니 관세가 어떻게 부여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진에서 과세 표준이라는게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진에서 오른쪽 16666엔 이하 / 이상 일 경우 관세율이 다른데 이 정보는 어디서 얻나요? 관세 법령 포털 같은 곳에서 세계 관세를 검색해봤는데 저 정보는 찾을 수 없더라고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HS Code는 물품의 성분이나 형상, 기능, 재질 등에 따라 상이합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관세율표 메뉴에서 자체적으로 HS Code를 분류하셔도 되나, 관세사에게 HS 품목분류 의뢰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과세표준은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기준을 말하며, 우리나라 관세법 제15조에서는 수입물품의 가격이나 수량을 과세표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국가별로 소액물품 면세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가사용 목적으로 수입하는 물품이 150달러 이하인 경우 관세 등 세금이 면제되며, 일본의 경우 해당 기준이 16,666엔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확한 내용은 일본 세관 사이트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사려는 제품의 Hscode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이게 가죽인지 아니면 합성 피혁인지 알수가 없으니 관세가 어떻게 부여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품목분류 시에는 물품의 재질, 형태, 기능, 용도 등을 알아야 분류가 가능합니다. 원단의 경우 재질이나 형태 등에 따라 품목분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재질이나 형태 등을 알아야 합니다.
사진에서 과세 표준이라는게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과세표준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입니다. 관세의 과세표준은 수입물품의 가격 또는 수량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물품의 가격이나 수량에 의해 정해집니다.
사진에서 오른쪽 16666엔 이하 / 이상 일 경우 관세율이 다른데 이 정보는 어디서 얻나요? 관세 법령 포털 같은 곳에서 세계 관세를 검색해봤는데 저 정보는 찾을 수 없더라고요.
해외직구 등의 면세기준을 표기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해당 내역을 가지고 일본 현지의 hs code를 확인하기는 굉장히 어려운 점 참고하시기 바라며, 일본 수입자 측이 hs code를 확인해줘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로 hs code의 경우에는 관세법령정보포털에서 확인이 가능하오나, 먼저 hs code 검토를 위한 자료 확인이 필요한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사려는 제품의 Hscode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이게 가죽인지 아니면 합성 피혁인지 알수가 없으니 관세가 어떻게 부여되는지 모르겠습니다.
- 원단의 hs code 분류는 해당 내역으로는 알기가 어려우며, 염색여부, 섬유종류, 크기, 중량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야 hs code 분류가 가능합니다. 사전에 일본 수입자가 통관사 측에 컨택하셔서 해당 정보 안내를 받으신 후 hs code 분류를 하시기 바랍니다.
사진에서 과세 표준이라는게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과세표준은 관세 과세가격을 의미하며, 해당 자료에서는 확인이 어렵습니다.
사진에서 오른쪽 16666엔 이하 / 이상 일 경우 관세율이 다른데 이 정보는 어디서 얻나요? 관세 법령 포털 같은 곳에서 세계 관세를 검색해봤는데 저 정보는 찾을 수 없더라고요.
- 일본 관세율표는 추가로 확인이 필요한 사항으로 hs code를 먼저 확인하셔야 해당 관세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문의하신 질문과 관련하여 번호별로 답변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번 질문에 대한 답변>
품목번호(HS CODE)를 정확하게 파악하는게 중요한데 의류는 61~62류, 신발은 64류, 가방은 4202호에 일반적으로 분류됩니다. 품명에 딱 정해진것이 아니라면 검색한다고 바로 나오지 않을 수 있으므로 특히 성분에 따라 세부 코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관세율표를 보고 검색을 할 수는 있지만 품명 및 해설 내용을 기반으로 분류하는게 어려울수 있으므로 전문가분께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2번 질문에 대한 답변>
관세의 과세표준은 수입물품의 가격이나 수량이므로 일반적으로 종가세이므로 가격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3번 질문에 대한 답변>
수입국마다 관세율이 상이하므로 품목번호(HS CODE)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일본 관세율표에서 관세율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