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탄생석은 자산으로의 가치가 약한 건가요?

탄생석은 실제로 재테크로 하기에는 제 값을 받기가 어려운건가요? 어떠한 이유에서 그런건가요? 흔한 광물이기에, 희소성이 약해서 그런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테크용도로 사용하려면 보통 수요와 공급이 활발하거나,

    화폐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거나, 리스크를 헷지할 수 있는 수단인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보석, 광물 등은 이에 해당하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반대로 금이나 은의 경우에는 수요와 공급이 활발하기도 하고

    특히 금은 전세계에서 화폐를 대신할 수 있기도 하거니와 리스크 헷지가 가능한 자산입니다.

    이에 반해 말씀하신 류는 거래도 잘 되지 않으며, 화폐로서의 가치 역시 아직은 크지 않기 때문에

    재테크 용도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탄생석은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약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탄생석은 말씀대로 흔한 광물이기에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약하기 보다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은 투자자산으로서 가치가 없긴 할거 같습니다 흔한광물이기도 하고 설령 희소성이 있다고 치더라도 글로벌 투자자들이 그 희소성을 인정해서 금처럼 가치저장의 수단으로 인정을 받아야 가격이 오를텐데 현재로써는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이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약하다는 것은 대체로 맞는 말입니다. 재테크 수단으로서의 보석은 다이아몬드, 그리고 일부 희귀하고 최상급의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 극히 일부 유색 보석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탄생석은 대부분의 경우 재판매 시 구입 가격에 훨씬 못 미치는 가격을 받게 됩니다. 모든 탄생석이 희소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탄생석은 시장에 비교적 흔하게 유통되는 광물입니다. 예를 들어, 1월의 가넷, 2월의 자수정, 8월의 페리도트 등은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많고 쉽게 채굴됩니다. 희소성이 떨어지는 광물은 그만큼 공급이 많아 가격이 오르기 어렵습니다. 재테크 관점에서 보석의 가치는 희소성에 크게 좌우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으로 자리를 잡기위해서는 규격화가 되어야하고 균일화되어야하며 질량이 매우 무거워서 마모에도 강하고 물질의 변화가 없어야 합니다

    금은 원소단위로 매우 무거운 원소로서 산소와 반응도 안하고 기간에 따라서 변화도 없으며 무엇보다 규격화와 표준화가 되어있습니다 탄생석은 동일 종류라도 크기 색상 연마 상태등 너무 천차만별이라는게 문제입니다 거기다 금처럼 일정하게 매년 안정적으로 공급이 되지 않으므로 유동성의 한계가 매우 부족하며 금처럼 감정이나 진위확인도 매우 어렵습니다. 즉 금은 매우 오랜기간 자산으로서 자리를 잡으며 감정도 쉽게 되며 관련된 시장이나 표준화 이런 제도가 매우 잘되어있기 때문에 자산으로서 가치를 잡고 유동성이 매우 좋기 때문에 가치저장수단으로서 쓰이기도 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희소성이 높을 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수요가 따라주지 않기에 가치가 상승하기

      어렵습니다

    • 반대로 훨씬 더 많은 양의 광물인 금은 더 적게 공급되는 광물보다 가격이 높은데

      그 이유는 수요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탄생성이 앞으로 가치가 오르려면 수요가 필요합니다 밈처럼 무언가 인기를

      끌어야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은 희소성이 없는 광물입니다. 비교적 흔한 광물이며 산출량이 많고 가격도 낮습니다.

    또한 이런 광물들은 딱히 소요도 없기 때문에 큰 가치가 있지는 않기 때문에 재테크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의 자산 가치는 보석의 희서성, 품질, 크기, 수요에 따라 다릅니다. 다이아몬드, 루비, 에메랄드, 사파이어 등 일부 고급 탄생석은 가격 상승과 투자 가치가 높지만, 아메시스트, 시트린 등은 희귀성이 낮아 자산가치가 약합니다. 대부분 탄생석은 시장 변동과 유통 제한, 재판매 난이 등으로 금, 주식 등 전통 자산에 비해 투자•자산가치는 약하고, 컬렉션 또는 상징적•감성적 가치가 더 큽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은 개인의 탄생월과 연결되는 상징적 의미가 강한 보석이지만 투자 자산으로서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약한 편입니다. 이는 희소성, 시장 수요, 유통 투명성 등이 낮아 가격 형성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혼합 광물이 많고 진위 판별도 어려워 재판매나 제값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 광물을 비롯하여 대다수의 자산들은 희소성에 의해 가치가 정해집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흔히 탄생석으로 분류되는 종류의 보석은 희소성이 다소 낮기 때문에 재테크용 자산으로 보기에는 다소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은 보기에는 예쁘고 의미도 있지만 자산으로 보기는 애매한 면이 많습니다. 일단 희소성 자체가 그렇게 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가넷이나 페리도트처럼 비교적 흔한 종류가 많고 시장에서 구하기도 어렵지 않습니다. 게다가 다이아몬드처럼 국제 시세가 명확하게 형성된 것도 아니고 감정이나 매매 기준도 제각각이라서 나중에 팔려고 해도 그 가격을 제대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느낌상 선물용이나 기념품으로는 괜찮지만 재테크 개념으로는 무게감이 부족하다고 봅니다. 실제로 중고시장에 내놔도 원가의 절반도 못 받는 경우가 많고요. 그래서 그냥 나를 위한 상징으로 갖고 있는 정도가 현실적인 선택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탄생석이라고 불리는 보석 12가지는 사실상 현금화가 어려운 희소성이 떨어지는 광물들이고, 국가에 따라서 돌멩이 정도로 취급을 받기도 하는 등 투자가치가 없다시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