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아기 미디어 노출 (241일 아기)
두*스토리 그림자극장도 미디어에 포함될까요?
who에서도 소아과 영검에서도 두 돌 전 미디어노출 하지말라고해서 두 돌 전 미디어 노출을 안할 생각인데 자기 전에 많이 보채면 손으로 그림자 놀이 해주면 되게 좋아하고 보채지 않고 잘자서 그림자극장을 들일까 하는데 그림자극장도 흔히 말하는 미디어에 포함되고 좋지 않을까요??
어떤 형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직접 조작하며 상상력을 발휘하는 그림자놀이는 미디어가 아니고
디지털 장치를 통해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그림자극장은 미디어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최소 12개월 이후부터 노출시켜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가 8개월 이면 되도록 이면 미디어의 노출 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랍니다.
아기가 미디어에 노출이 되면
아기의 눈 시력 저하는 물론 이거니와 아이의 뇌.인지발달 저하 및 성격변화 형성 등의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 이랍니다.
아기에게 좋은 놀이는 부모님과 눈맞춤을 통한 신체적 접촉 그리고 부모님의 목소리로 읽어주는 책 읽기 시간 등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 ㅅ토리 같은 그림자극장은 빛과 손 그림자, 종이 오브젝트를 활용하는 아날로그 놀이라 Tv, 스마트폰 같은 전자 미디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WHO나 소아과에서 말하는 '두돌 전 미디어 노출'은 주로 '전자 화면(영상, 게임, 스마트기기)를 뜻합니다. 따라서 스크린 기반이 아니니 두뇌 발달에 해롭지 않고 오히려 상상력과 정서 발다에 좋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스토리 그림자극장과 같은 그림자 놀이는 일반적인 스크린 기반 미디어와는 다릅니다. WHO와 소아과 학회에서 권장하는 "두 돌 전 미디어 노출 금지"는 주로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 같은 화면 기반 미디어를 말합니다.
그림자극장은 아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놀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디어 노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빛과 그림자를 이용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자극하며, 아이의 뇌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돌 전 그림자극장 놀이 는 아이에게 좋은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무래 교육적 콘텐츠라고 할지라도 화면 기반의 컨텐츠는 2세 미만에게 좋지 않습니다.
이는 언어 및 상호 작용 발달에 좋지 않기 때문이죠.
2세 전에는 아이와 직접 눈을 맞추고, 언어 소통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