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엔화는 왜 약세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인가요?

엔화는 왜 약세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인가요?

정책적으로 일본정부에서 밀고 있는 것인지...아니면 구조적으로 바꾸지 못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처럼 미국만 따라간다면 일본의 저소득층들이 붕괴되겠죠, 일본이나 미국은 내수비율이 우리나라와 반대로 높습니다 즉 뿌리가 든든하고 그렇게 만들어가는것이죠, 오히려 무역에서도 더 싸게 제공하여 경상수지가 줄어들수는 있지만 물가가 싸니 관광수입도 좋고 소상공인에게도 좋다는거죠, 우리나라는 지금 소상공인이 박살나고 있죠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정부에서 일부러 엔저현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수출, 내수시장 증진이 목적입니다.

  • 일단 일본의 엔화 약세가 발생하고 있는 장기적인 원인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라고 불리는 장기 저성장 때문이고 단기적으로 보면 미국과 금리 격차가 워낙 크게 벌어져서입니다. 일본이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엔화 방어를 위해 수조 원 이상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효과가 너무 일시적이라서 진짜 급할 때만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 엔화가 약세 흐름을 유지하는 이유는 통화정책, 경기 침체, 무역적자, 금리 차이, 정치적 이슈 등이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엔화 약세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엔화 약세를 용인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엔화 약세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며 경제 상황, 정치적 이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엔화가 약세를 유지하는 이유는 일본의 금리가 다른 나라보다 낮아서 투자자들에게 덜 매력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엔화 약세는 일본 수출업체들에게 유리하지만 수입 물가를 올려 소비자들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엔화 약세는 일본 은행(BOJ)도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황으로 가고 있습니다.

    일본의 엔화는 근본적으로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환율은 계속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를 환율을 낮추는 방법은 금리를 올리는 것인데 금리의 인상은 지난 30년 동안 성장하지 못해 금리 인하 통해 성장을 꾀하고 있는데 이를 역행 하는 정책입니다.

    또한 환율을 낮추는 방법으로 미국채를 매각하여 엔화를 사는 것인데 이 또한 미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입장입니다.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에 참으로 일본의 입장에서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엔화약세는 일본기업(수출하는 기업)의 성장에는 도움이 되지만, 일본국민은 높은 물가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엔화는 왜 약세의 흐름을 유지하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엔화의 약세는 미국과 일본의 기준 금리 차이로 인함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일본 정부는 더 이상 기준 금리를 올릴 생각이 없어보이기에

    이런 엔저가 지속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