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1.16

얼굴등을 비추는 거울에 재료는 무엇인가요?

문득 화장실애 거울을 보다 궁금해 지는데 거울은 어쩐 소재로 만들어져서 이렇게 비춰지는 모습을 그대로 볼수 있게 하는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6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의 재료는 대부분 구리와 주석의 합금, 그리고 녹을 방지하는 청동입니다

    거울의 원리로는

    오목거울에 평행한 빛이 입사하면 마치 볼록렌즈가 빛을 모으는 것과 같이 한 점에서 초점을 맺히고 거울로부터 그 점까지의 거리를 그 거울의 초점거리라 하는데 볼록거울에 평행한 빛이 입사하면 마치 거울 뒤의 한 점에서 빛이 나오는 것처럼 반사되는것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보통 유리 또는 금속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반사가 100% 되도록 제작되어 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주로 유리나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유리 거울은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고 금속 거울은 표면을 광택 처리하여 빛을 잘 반사하도록 만들어져요. 이렇게 만들어진 거울은 빛이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해서 우리 얼굴이나 다른 물체를 비추게 되는 거예요.

    거울의 표면은 매우 매끄럽기 때문에 빛이 반사될 때 거울의 표면과 같은 모양으로 반사되어요. 그래서 우리 얼굴이나 다른 물체를 거울에 비추면 거울의 표면과 같은 모양으로 반사되어서 우리가 볼 수 있게 되는 거예요.

    그리고 거울은 빛을 반사하는 물체이기 때문에 빛의 성질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으로 반사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햇빛이나 백열등과 같은 백색 빛을 거울에 비추면 거울의 표면과 같은 백색 빛으로 반사되지만 파란색 빛을 거울에 비추면 파란색 빛으로 반사되는 거예요.

    그리고 거울은 빛을 반사하는 물체이기 때문에 빛의 강도에 따라서 반사되는 빛의 세기도 달라져요. 예를 들어 밝은 빛을 거울에 비추면 더 밝게 반사되지만 어두운 빛을 거울에 비추면 더 어둡게 반사되는 거예요.

    거울은 빛의 성질을 이용해서 우리가 얼굴을 비추면 우리 얼굴의 모습을 다양하게 반사해주는 멋진 도구에요. 제가 거울을 보면서 우리 얼굴이나 다른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빛의 성질을 이용해서 반사되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거울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복잡하고 멋진 과학적 원리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것이랍니다. 함께 알아가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얼굴 등을 비추는 거울의 재료는 크게 거울면뒷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거울면은 빛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로, 일반적으로 을 사용합니다. 은은 빛을 99.8%까지 반사할 수 있는 뛰어난 반사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은은 녹색과 파란색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거울을 통해 보는 이미지가 붉은 색을 띠는 경향이 있습니다.

    뒷면은 거울면을 보호하고, 거울을 벽에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이나 유리를 사용합니다. 아크릴은 유리보다 가볍고, 충격에 강한 특성이 있습니다. 유리는 아크릴보다 무겁지만, 투명도가 뛰어나고, 내열성이 우수합니다.

    이외에도, 거울에는 다음과 같은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백금 : 은보다 반사율이 높지만, 가격이 비쌉니다.

    • 알루미늄 : 은보다 저렴하지만, 반사율이 낮습니다.

    • 폴리머 : 유리나 아크릴보다 가볍고, 충격에 강한 특성이 있습니다.

    거울의 재료는 거울의 성능, 가격,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선택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유리와 반사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면에는 유리가 있고 유리 뒷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을 부착시킴으로써 빛을 반사시켜서 유리에 비친 모습을 볼 수 있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은 일반적으로 유리 패널과 금속 코팅으로 만들어집니다. 유리는 거울의 투명한 부분이며, 금속 코팅은 거울의 반사 표면입니다.

    거울의 금속 코팅은 주로 알루미늄 또는 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금속은 매우 매끄럽고 반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습니다. 일부 거울은 금속 코팅 위에 보호 코팅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유리 뒷면에 금속을 입힌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금속의 종류로는 은, 알루미늄, 크롬 등이 사용됩니다. 은은 가장 높은 반사율을 가지고 있지만, 쉽게 산화되어 색이 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은보다 반사율이 낮지만, 산화되기 어렵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크롬은 반사율이 낮지만, 색이 변하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 유리거울을 만들 때는 유리에 주석박을 붙인 다음 그 위에 수은을 부었다고 합니다. 수은이 반응성에 의해 주석박을 녹이기 때문에 은백색 액체인 주석 아말감으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요. 이 주석 아말감이 유리에 붙어서 유리거울이 된 것이죠. 하지만 이 과정은 수은의 중독성이 뿐만 아니라 선명하게 거울이 만들어지지 않아서 상용화되지 않았습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거울에 쓰인 금속은 바로 은입니다. 은을 유리거울에 입히기 위해서는 은거울 반응으로 만들어지는데요.

    은거울 반응은 주로 환원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할 때 쓰이는 반응입니다. 깨끗한 시험관에 시료를 취하여 질산은 용액을 가하면 갈색빛을 띄는 침전물이 생기는데요. 침전물이 사라질 때까지 암모니아 수용액을 가한 후 포도당 용액을 넣으면 온도를 올리게 되면 은이온이 환원되어 은이 도금되어 반짝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