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사진을 보니 두드러기가 맞습니다. 두드러기는 알러지 질환입니다.
알러지 원인 물질을 파악하셔야겠습니다.
증상이 생기고 5분 이내에 어떤 물질이 노출되었는지를 곰곰히 생각해보시고 그 물질로부터의 노출을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두드러기가 생겼다면 냉찜질, 항히스타민제 복용, 스테로이드 복용이나 도포가 도움이 되겠습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부담되지 않는 약이고 필요시 여러가지를 함께 복용하기도 하니 염려말고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단 가능한 원인부터 찾아서 피해 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두드러기는 원인을 찾지 못하고 급성 두드러기는 약을 먹다보면 시간이 지나면 좋아집니다. 약은 당분간 드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두드러기는 보통 알러지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부 병변입니다. 알러지는 선천적으로 타고 나서 어렸을 때에 없으면 커서도 발생하지 않는 질환이 아니며 후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러지는 알러지 항원에 노출되면 몸에서 감작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몸에 각인이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감작이 발생한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노출이 될 경우 노출될 때마다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 감작 과정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은 이론적으로 세상 모든 물질이 다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에 별다른 문제 없이 섭취를 해 왔거나 노출이 되어왔던 물질 들 중에서도 갑작스럽게 감작이 되어 알러지가 발생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안타깝게도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을 모르는 경우도 과반수 이상으로 많습니다. 아쉽지만 현대의 의학 기술로는 아직까지 알러지 항원을 확실하게 임의적으로 탈감작을 시킬 방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최대한 회피하여 증상 발생을 예방하고, 만약 증상이 발생한다면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을 복용하며 증상을 조절하는 대증적인 치료를 하며 관리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치료법입니다. 자연스럽게 탈감작이 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관리를 잘 하면서 탈감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기다리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