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다시봐도빛나는코스모스

정서적으로 안정이 되지 않는 아이 어떻게 지원해주는 것이 좋을까요?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입니다.

부모와의 이별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아동이 교실에서 불안한 행동을 보일 때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 스스로가 자신이 소중한 존재라고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

    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아동에게는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해 신뢰감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실에서 아동에게 안정적인 일과를 제공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마련합니다. 또한 정서적인 지원을 위해 긍정적인 격려와 편안한 대화를 통해 아동의 불안을 경감시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정서적으로 안정이 되지 않는 아이는 심리적 부분이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심리적인 부분을 먼저 치유해 주는 것이 먼저 이겠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마음의 상처를 먼저 치유를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예측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일관된 일상과 규칙은 아이에게 안정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을 많이 해주시길 바랍니다.

    아이가 힘들거나 곤란할 때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아이들의 경우에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과 선생님의 역할이 중요할것으로보입니다. 선생님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아이를 지켜봐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겪고있는 문제에 대해서 부모님에게 피드백을 해주시고 우리 부모님은 아이를 잘케어 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금 아이가 마음속에 불안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렇게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은 내성적이까지 합니다. 이런 아이들은 자기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면서 성공 경험을 얻고 그 에너지 들의 토대로 점차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과 응원을 많이 해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