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밤에 하늘을 보면 달이 엄청 클 때가 있고 작을 때가 있는데 진짜로 그렇게 보이는 건가요?
가끔 밤에 운동 하다가 하늘을 보면
보름달이 작게 보일 때도 있고
또 어떨 때는 굉장히 크게 보일 때도 있는데
느낌상 그렇게 보이는 건지
아니면 정말 크게 보이고 작게 보이는 건지 궁금합니다.
달의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달이 공전하면서 위치가 달라져, 지구, 달, 태양이 만드는 각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달의 밝은 부분이 달라지게 되고, 모양이 변하게 됩니다.
즉 실제 달이 커지거나 작아진 것은 아니고 반사에 의해 그렇게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원형으로 공전하는게 아니고 타형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과 가까울 때와 멀때가 있습니다. 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며 추가적으로 이 때문에 밀물과 썰물의 차가 생기는겁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지구와 가까워지기도 하고 멀어지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달은 지구 주변을 타원궤도로 돌고 있기 때문에 평균 거리가 38~39만 km정도이지만 가까워 질 때는 35만km까지 접근합니다.
이 때는 달이 더욱 더 커 보이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궤도가 완벽한 원형이아니고 타원형이기때문에, 달이 가까워지는 시기와 멀어지는시기가 존재합니다.
때문에 달이 가까운순간에 보름달이 뜨는날이라면 달이 매우커보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폰조착시 때문입니다. 폰조착시란 이탈리아 심리학자 폰조가 철도레일을 예로 든 착시 현상입니다. 크기가 같은 상자도 멀리있는게 크게 보이고 가까이 있는게 작게 보입니다. 마찬가지로 달도 머리 위에 뜬 달은 작게 보이고 지평선 근처에 있는 달은 크게 보이는 거지요. 지평선 위에 있는 달을 등지고 서서 허리를 굽혀 다리사이로 보시면 그냥 볼 때보다 작게 보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