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존주의와 재건주의는 무슨 철학인가요?
20세기 전기에 등장하는 미국의 교육 철학 중에 '항존주의'와 '재건주의'라는 철학 사조가 있는데요. 이 둘은 어떤 철학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항존주의(Perennialism)
항존주의는 본질주의와 똑같이 진보주의를 경쟁하기 위하여 나타났지만 주
사상의 과학주의, 세속주의, 물질주의에 반하여 종교적 세계관 위에 서서 철저히 반과학주의, 탈세속주의, 지성주의를
부르짖고 있습니다. 항존주의자들은
인간의 본질이란 항상적인 것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지성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봅니다.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재건주의는 인류와 문화의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여 오늘날의 문화를 재검토함으로써 새 문화에 대한 전망을 밝히고
이를 위하여 교육이 선도적, 혁신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그
바탕을 마련하자는 교육이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실존주의는 항존주의와 관련이 높습니다.
진보주의나 본질주의가 과학적, 세속적, 물질적 가치를 담고 있는 데 비해, '항존주의'는 반과학적, 탈세속적, 정신주의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증주의는 물질계를 중심으로 하는 철학(유물론)이고,
실존주의는 정신계를 중심으로 하는 철학(유심론)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항존주의는 인간의 본질이란 항상 적인 것이며 그 가운데에서도 지성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이들은 지성을 불완전하고 상대적이며 변화무쌍한 사회적 요구나 환경적 구속에 억압 시키기보다는 그것을 해방하고 계발 시켜야만 참다운 자유인, 참다운 사회인을 길러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재건주의는 인류와 문화의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여 오늘날의 문화를 재검토함으로써 새 문화에 대한 전망을 밝히고 이를 위하여 교육이 선도적, 혁신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그 바탕을 마련하자는 교육 이념입니다. 재건주의는 기존의 진보주의로부터 수단과 과정을 중시하는 사상을, 본질주의로부터 문화 보존의 인류학적 가치를, 그리고 항존주의로부터 생의 목표를 추구하는 사실들을 수용하는 입장을 취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너무 어렵고 긴 이야기라 글로 다 쓸 수는 없지만
간단하게 설명 하자면
항존주의는 모든 진리는 변하지 않으니 고전의 것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라고 볼수 있습니다.
재건주의는 현대사회에 위기 같은것은
사회적인 관점에서 자아실현으로 해쳐나가자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20세기 초반 미국 교육사회에서는 '항존주의'와 '재건주의'라는 두 가지 주요한 교육 철학 사조가 등장했습니다.
'항존주의'(Existentialism)는 개인의 자유와 존재를 강조하는 교육 철학으로, 인간의 존재와 의미에 대한 질문을 중심으로 합니다. 인간의 내면적 삶, 개인의 선택, 그리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것을 중요시하며,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자아를 발견하고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대표적인 교육철학자로는 존 드워이(Jean Paul Sartre)와 마틴 헤이데거(Martin Heidegger) 등이 있습니다.
반면,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는 사회 문제의 해결과 사회 진보를 위해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철학입니다.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도,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 실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즉, 교육이 사회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죠. 대표적인 교육철학자로는 조지 커튼(George Counts)와 해럴드 래키(Harold Rugg) 등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철학 사조는 서로 다른 관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항존주의는 개인의 존재와 자유를 강조하면서도, 인간의 삶의 의미와 진정한 본질에 대한 질문을 중시합니다. 반면에 재건주의는 교육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둘 다 각자의 측면에서 교육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그 목표와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항존주의는 시공을 초월하여 항구적으로 불변하는 진리를 포함하고 있는 고전과의 대화를 통해 인간지성의 계발을 목표로 하는 교육 사상입니다.
재건주의는 사회 개혁과 개인의 사회적 자아실현을 중시하는 교육 이념으로 미국의 교육자인 브라멜드가 주장한 사상으로 다양한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리지향적인 교육 이념입니다.
사회개조의 기능은 위기문화의 중요한 구조와 습관과 태도를 개조함에 공헌할수있는 교육과 깊이 관련되며 이런 교육의 기능은 사회개조를 위한 뚜렷한 방향을 주는 미래지향적인 성격을 지니게 되고, 소극적으로는 이상과 현실사이의 모순에 대한 불만에서, 적극적으로는 이 같은 모순을 제거하고자 하는 새 질서를 향한 목적추구에서 나온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존주의와 재건주의는 교육의 역할과 목적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두 가지 교육 철학입니다.향존주의는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통 지식과 가치의 전달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입니다. 교육을 과거의 최고를 보존하고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는 수단으로 봅니다. 이 철학에 따르면 교육의 목표는 전통, 권위 및 기존 가치에 대한 존중을 심어주는 것입니다. 영구주의는 수학, 과학, 역사 및 문학과 같은 핵심 과목을 강조하는 체계적이고 엄격한 커리큘럼을 옹호합니다.
반면에 재건주의는 사회 변화와 사회 진보를 촉진하는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입니다. 그것은 교육을 개인이 사회를 형성하고 사회를 보다 공정하고 공평하게 만드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수단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철학에 따르면 교육의 목적은 현실 세계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재건주의는 학생들이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사회적 문제, 현재 사건 및 실용적인 기술을 강조하는 커리큘럼을 옹호합니다.
요약하면, 향존주의는 전통과 확립된 가치의 보존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재건주의는 사회 변화를 촉진하고 개인이 사회 형성에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