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날으는피자
날으는피자

아이들은 무조건 애착인형을 가지게 되는건가요?

보면 아이들이 아끼는, 동생처럼 여기는 인형이 꼭 있잖아요. 그걸 애착인형이라고 부르고요. 모든 아이들은 애착인형을 가지고 싶어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모든 아이들이 애착인형을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상황이나 개인에 따라서 다른 애착물을 가지게 되기도 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 이불, 손수건 등으로 마음을 안정을 누리기도 합니다.

    애착인형은 낯선상황에서 양육자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애착인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간이 흘러 아동이 되면, 아동은 점차 양육자와 떨어져지내는 시간이 많게 된다. 낯선 세상을 탐색하던 어린 아동은 양육자와 떨어져 놀다가도 조금이라도 불안하면 양육자를 보고 표정을 살피고, 간혹 놀라면 양육자에게 쭐래쭐래 달려와 안겨 안정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양육자의 역할을 안식처, 안전 기지(secure base)라고 부릅니다. 더 시간이 흐르면 이제는 양육자가 없더라도 스스로 안정을 찾아야 할 때가 오게 됩니다. 몇 시간동안 양육자가 외출하거나 혼자 잠을 자야 할 때, 아동은 안식처 역할을 해줬던 양육자의 상을 대신할 대상을 찾는다. 아동은 부드럽고 푹신한 것을 찾아 양육자의 상을 투영하는데, 그러다 보니 애착의 투사 대상으로는 주로 인형이 이용된다. 이렇게 애착의 투사 대상이 된 인형을 애착인형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모든 아이들이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보통 유아기에 나타나는 발달 특성 중에 하나로, 안정감을 위해서 애착을 느끼는 인형이나 인형이 아니더라도 물건을 선호하게 되며, 아이가 자라면서 점차적으로 이러한 애착의 강도나 빈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많은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애착인형 및 애착 장난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지만 아이들의 애착에 대한 강도 차이는 존재합니다. 애착형성을 위해 애착인형을 가지는 것은 나쁜것만은 아니기 때문에 아이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을 위해 도움이 됩니다. 너무 심할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이 필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서 다릅니다 애착인형을 가지고 다니는 아이들도 있고 그렇지않은 아이들도있죠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모든 아이가 애착인형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아이들이 정서적 안정과 위안을 위해 애착인형을 선호합니다. 개인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모든 아이가 애착인형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아이들이 애착인형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위안을 찾습니다. 개인 차이가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