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서부터 말이 없고 감정표현을 못하는 아이는 그 아이의 성격인가요? 아니면 문제가 있는 건가요?
조카가 7세인데 발달검사상에는 정상이라고 합니다. 하도 말이 없고 과묵해서 아이답지 않다고 제가 항상 그럽니다. 말도 너무 늦게 터서 걱정을 많이 한 조카인데, 말도 잘 안하고 감정표현을 안하는 아이는 성격인가요?
7세 아이가 별로 말이 없고 감정표현을 하지 않으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마다 성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조카와 같은 성향을 지닌 아이들도 있기 마련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어려서 부터 말이 없고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이 부족하다면
우리의 아이의 발달적 부분에 문제가 되는 것은 사회성 결여 및 성격변화 형성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라는 것입니다.
아이가 말이 늦게 트였다 라는 것은 아이가 말이 트일 시기에 적절한 언어자극 제공이 되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아이에게 조금 더 신경을 써주고, 아이에의 언어적 자극에 대한 도움을 주었다 라면 아이의 언어적 발달은 지연이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표현 입니다.
아이가 자신이 감정에 대한 표현이 부족한 이유는 언어적 소통이 부족함도 있고,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의 문제가 있어서 입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인 성향이 짙다 라면 자신의 감정에 대한 표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자주 대화하는 시간이 부족해도 아이가 언어를 전달하는 것에 대한 부분이 미흡하기 때문에 말을 전달 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겠습니다.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다양한 언어적 소통을 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의 자주 말을 걸어주고 질문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과 앞서 언급했던 역할극을 함께 하면서 상황에 적절한 감정,기분,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음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타고 나는 기질일 수도 있고, 학습된 성향일 수도 있는데 무엇 하나라고 단정을 지어서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말이 없고 감정 표현을 잘하지 않는 것으로 본인이 불편해 하거나, 이로 인해 불편한 상황을 경험하는 게 아니라면 큰 문제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겪거나, 불편한 상황이 야기되고 있다면 언어 치료나 상담을 받는 쪽도 고려해 보심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성격일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하면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