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단아한다향제비287
단아한다향제비287

적금 얼마가 적당할까요? 나이는 20대후반입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9
직업
회사웡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월 수입 현황
240
월 고정 지출 비용
150
희망 상담 분야
부동산 설계

지금 제나이가 20대후반이고 입사1년차잌데 적금은 얼마나 들어야할까요 너무 부담 되지 않게 들고 싶은데 마땅히 좋아보이는게 없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은 현재 가용소득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목표자금이 언제인지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라이프사이클을 그려보시고 결정해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가입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본인의 소득입니다. 본인의 월 소득액을 기준으로 월 얼마 정도의 적금 불입액이 적당할지를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한달의 수입과 지출을 살펴보고 가능한 저축금액을 산출해 보심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독립가구 여부와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100만원 이상의 저축이 적정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만약 100만원 저축이 가능하다면

    40만원 청년도약계좌

    40만원 특판적금(20만원씩 2개)

    10만원 청약저축

    10만원 비상예비비 cma저축을

    추천드릴 수 있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가입 가능한 조건이 되는 지 보아야겠으나, 가능할 것으로 보여 추천드리면

    청년도약계좌를 추천드립니다.

    가입기간이 5년으로 다소 기나, 아직 나이가 어리시고,

    혹 그 사이에 결혼, 내집마련 등을 할 때에는 중도해지 시 이율을 똑같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다른 적금들에 비해 매력적인 상품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월 240에 지출이 고정으로 150이면 위험해보이는 수준이네요, 우선 남는건 다 넣으시고, 이자까지 타는 대로

    고정지출을 없애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소득에 따라 상이하겠지만 고정적으로 월에 나가는 비용을 제외한 모든 금액을 저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우선은 목돈을 모아가야 하니까 적금이 적합한 것은 맞습니다 최근 청년들을 위한 고금리 적금이

      많이 있기 때문에 해당 적금들을 찾아서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의 경우 사실 개인의 소득과 소비성향등에 따라 일괄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단, 20대후분이고 1년정도 근무를 하셨다면 개인적으로 최소 소득의 50%정도는 적금이 필요하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20대이며 사회초년생이시라면 미래를 위해서 수입의 50% 정도는 저축 및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은 개인의 재정상황과 목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답변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월 소득의 10% 정도를 적금으로 저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적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지호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 금액에 대해서는 본인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하시면 됩니다.

    작성해주신 부분에서 수입에서 고정지출을 빼면 90만원정도 매월 여유자금이 있어보이는데 이 금액을 모두 적금을 하셔도 되고 일부 예비비를 남겨두고 하셔도 무방합니다.

    적금은 목돈을 만든다는 것에 의의를 두는 것으로 이자를 많이 받겠다하시는 것은 크게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나 팁을 더 드리자면 70만원을 적금을 가입하겠다하시면 금액을 35, 35로 나누든 40, 30으로 나누든 20, 20, 30으로 나누든 분할해서 적금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갑작스럽게 자금이 필요할 수 있을 때 적금을 해지해야 할 수 있는데 전액을 해지하는 것보다 부분 해지가 낫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글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중은행 예·적금 및 대출금리 비교 확인방법 (lovingpine.com)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은 월급의 10-20% 정도를 시작으로 적당히 부담되지 않게 들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200만 원이라면 20-40만 원 정도를 적금에 넣는 것이 적당합니다. 큰 금액을 무리하게 적금에 넣기보다 여유 있게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투자나 생활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적금을 통해서 목돈을 마련하려는 계획을 하고 계시는 군요.

    고정 지출 비용을 제외한 모든 비용을 적금으로 모아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부담되신다면 파킹 통장으로 입출금이 자유롭지만 이자를 주는 계좌를 개설하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사이다 통장 등에 파킹 통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0대 후반 분의 적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수입이 240만원이고 고정 지출이 150만원이라면

    나머진 중에서 50만원 정도 적금 해보시는 것은 어떠실까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월수입 240에 고정지출이 150이면 가용할 수 있는 돈이 90만원인데요.

    저라면 최소 10만원은 주택청약저축에, 그리고 30~40만원 정도를 일반 적금 가입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주텍청약상품의 경우, 월 2만원 최소 납입 금액을 납입하여 기간을 인정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월 10-20만원 정도의 적금을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