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저희회사는 전직원들의 연차수당을 매년 2월에 지급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희회사는 전직원들의 미사용 연차를 매년 2월에 정산하여 지급중입니다.

그런데 2024년 4월 입사한 직원이 2024년(4-12월) 동안 연차를 2개 사용 했습니다.

이럴경우에 이 직원에게도 2025년 2월에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하나요 ?

아니면 2026년에 지급해야 하는 건가요 ?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2024년 4월에 입사한 근로자에게 연차수당은 원칙적으로 2025년 5월에 지급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다만 회계연도 방식으로 연차를 산정한다면 2025년 2월에도 지급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질문주신 내용의 경우 전년도 4월에 입사하여 아직 재직 기간이 1년 미만인 것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별도 정산해서 지급해야 하는 미사용연차휴가수당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입사 1년 이상이 되는 시점에 1년 미만 차 때 발생하는 1개월 개근 시마다 발생하는 1일의 연차휴가 총 11일 중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가 있다면 1년 이상이 되는 시점에 정산을 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연차휴가는 발생일로부터 1년동안 사용할 수 있고, 1년이 지나면 미지급 연차휴가수당으로 지급해야합니다

    입사 1년 미만의 경우 최최 1년의 근로가 끝날때까지의 기간이 지나면 연차휴가가 소멸하기 때문에 25년 3월 말에 1년이 끝날 때 연차수당을 주는게 원칙입니다

    [근로기준법 60조 7항]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사업주님.

    신입직원은 25년 4월에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을 지급하면 될 듯합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년차가 되는 시점에 신입 당시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을 지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회계연도로 연차를 부여하고, 회계연도에 맞춰 미사용수당을 지급하셔도 됩니다. 다만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미사용수당 산정 시기보다 늦어서는 안 됩니다.

    그렇다면 26년이 아닌, 25년 2월에 지급하셔야 합니다.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기준보다 불이익하게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당 지급 지연은 근로자에게 불이익합니다.

    감사합니다.

    노동법률사무소 필화, 염상열 노무사 드림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연차휴가 미사용수당은 개별 근로자별 입사일 기준으로 1년이 되는 날까지 사용자의 귀책으로 인해 사용하지 못할 시 지급해야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