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동고비63
우람한동고비63

생1 길항작용에 대해 배우고있는데..

생1 길항작용이 서로 효과를 상쇄하는 작용이잖아요,근데 같은 내장기관에 분포해야 한다는 거에요.??예흘 들어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 처럼..그래서 제가 생1 쌤한테 물어봤는네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길항작용이 맞지만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길항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했어요…그럼 인슐린은 혈당량ㅇ을 감소시키고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량을 증가시키는데

두 호르몬이 길항작용을 하지 않는게 맞는지,(문제 풀이 기즌) 맞다면 두 호르몬이 같은 내장기관에 분포하지 않아서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선 길항작용을 하는 호르몬은 서로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생체 조건을 정상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호르몬 쌍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혈당량을 조절하는 데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하므로 길항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경우,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혈당 조절에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길항작용이라고 할 때는 두 호르몬이 동일한 생리적 지표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면서 협력적으로 항상성을 유지하는 관계를 의미하는 경우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인슐린은 주로 간, 근육, 지방 조직에 작용하여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고, 글루카곤은 주로 간에 작용하여 혈당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즉, 둘 다 주요 표적 기관이 혈당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을 높이는 효과 외에도 심혈관계, 호흡계 등 다양한 기관에 작용하며, 혈당 증가 효과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노르에피네프린은 주로 스트레스 상황이나 급격한 에너지 요구 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슐린과 같이 혈당을 일상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요약하자면,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량에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그 작용 메커니즘과 생리적 역할의 차이로 인해 일반적인 의미의 길항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같은 내장 기관에 분포하는 것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두 호르몬이 동일한 생리적 지표를 조절하는 데 있어 직접적이고 협력적인 반대 작용을 하는지 여부입니다.

  •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길항작용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길항작용은 하나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을 높이는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길항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 조절에 있어서는 기능적 길항작용 관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은 기관에 작용하지 않아도 전체 생리적 결과가 상반되면 길항작용이라고 판단합니다. 예시로 칼시토닌과 파라토르몬은 칼슘 농도에 대해 반대 작용을 서로하지만 신장, 뼈, 장 등 여러 기관을 거쳐 작용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