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미국 관세 부과에도 AI 반도체 수출 반등이 나타난 배경과 지속 가능성은?

최근 대중소 반도체 기업의 대미 수출이 나란히 반등했는데, 미국 관세 부담에도 이런 흐름이 유지될 수 있는 이유와 앞으로 무역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부담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AI 반도체 수출이 반등한 데에는 글로벌 수요 확대가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생성형 AI 확산과 데이터센터 확충이 맞물리면서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뿐 아니라 유럽과 중동에서도 AI 인프라 투자가 진행되며 판로가 넓어졌습니다. 일부 기업은 미국 외 생산기지를 활용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는 우회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기술 격차 유지와 공급망 다변화가 필수이며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안정적인 수출 구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무역 협상에서도 AI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명확히 자리매김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 관세정책에 아직 반도체는 포함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반도체는 10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등의 소식이 있지만 아직 무역확장법 제232조의 관세부과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에 또한 반도체 사이클 자체의 회복과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 호조에도 힘입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58542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반도체는 관세가 부과되고 있지 않기에 이에 따라 관세가 부과되기전 대미수출이 증가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추후에 관세가 부과되는 경우 물품에 대한 물량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질 것이기에 미리 재고를 비축함으로서 관세를 대비하는 것이고 관세가 부과되지 않더라도 어차피 반도체의 사용처는 다양하기에 이를 감수하고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