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충부채 상환 비율도 복잡하던데 알려주세요

주택대출 규제로 총부채상환비율과 주택담보인정비율이 자주언급되는데 두개 용어에 대해서 잘모르겟어요 두개의 차이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총부채 상환비율은 연간 소득 대비 전체 부채 상환액의 비율로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반면, 주택담보인정비율은 담보 주택 가격 대비 대출 가능 비율로 담보가치 기반의 대출 한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즉, DTI는 소득기준, LTV는 담보기준으로 각각 다르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총부채 상환 비율이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이는 돈을 빌리는 사람이 자신의 소득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는 것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총부채상환비율(DTI)은 차입자의 소득 대비 연간 원리금 상환액의 비율을 의미하며, 대출 한도를 소득 기준으로 제한해 금융 건전성을 높이는 규제입니다.

    주택담보인정비율은 부동산 등을 담보로 대출하는 경우 부동산 감정가액의 일정비율 이내에서 대출토록 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둘 다 대출 제한할 때 쓰는 기준이긴 한데 보는 관점이 완전히 다릅니다. 총부채상환비율은 쉽게 말하면 내가 버는 돈으로 대출 이자랑 원금을 얼마나 갚아야 하느냐를 따지는 거고 주택담보인정비율은 내가 담보로 내놓은 집값에 비해 대출을 얼마나 받는지를 따지는 겁니다. 전자는 소득을 기준으로 잡고 후자는 집값을 기준으로 보는 거라 같은 대출이라도 두 비율이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소득이 많으면 총부채상환비율은 여유 있지만 집값 대비 대출이 크면 주택담보인정비율은 높게 나오는 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총부채상환비율 DTI는 소득대비 대출이자와 원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대출의 상환능력을 보는지 평가하는데 이용됩니다.

    주택담보인정비율 LTV는 주택 가치 대비 대출금 비율을 의미하며 주택 가격 대비해 대출 규모가 적정한지 어떤지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