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애착단계에서 신생아 행동??
신생아의 전 애착단계에서 영아가 하는 행동에 어떤것이 있나요? 만약에 이러한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면 부작용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입니다.
안아주거나 냄새에 의해서 이러한 반응이나타날수있습니다.
얼만큼이 즉각적인지 알수없으나
그렇게 즉각적이지 안하도 큰 부작용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아와 같은 경우 보통 울어버림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반응을 요구합니다.
그렇기 떄문에 아이가 운다면 잘 살펴봐줘야 하며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여도
일시적으로는 괜찮으나 이것이 장기적으로 횟수가 계속 늘어난다면 아이가 애착발달에 느려지고
회피애착 등을 보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전 애착형성 단계 (Preattachment Phase: 출생후 ~ 6/12주)
- 사람을 구분하고 알아보는 능력은 없지만, 신체 접촉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
- 자주 안아주고 쳐다보는 것이 중요
- 어머니의 냄새나 목소리에 반응을 보이고, 어머니를 인식하기 시작하지만, 애착 대상이 고정 되어 있지는 않음
- 미소짓기, 울기, 눈맞춤, 매달리기 등을 통해 성인에게 상호적 신호를 보냄
- 혼자 남겨져도 크게 두려워 하지 않는 모습 보임
- 서서히 얼굴, 목소리, 냄새, 특징적인 행동에 의해 친숙한 사람들을 인식하기 시작출처: https://huehue2.tistory.com/276 [꿍꿍스:티스토리]
전애착단계에 대해서 적어드렸는데 아이의 반응게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완전한 애착이 형성 되지 않아 회피 애착, 저항애착, 혼란애착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인 반사 행위와 사람들을 훑어보는 행위
익숙한 사람의 소리와 냄새로 구분을 할 수 있는 행위 등등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하는 경우에 억양이 있거나 다정다감하게 목소리를 내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아가 울거나 자신만의 시그널을 보낼수있습니다.
바로 반응하지 않는다고해서 애착형성이 안되는것은 아니며
이러한 반응이 늦어지는것이 지속적으로 된다면 애착형성이 조금 둔해질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