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포워딩 인보이스 수령시 항목에 대한 용어개념과 왜 청구 되는지 궁금합니다.

포워딩 계산서나 견적문의를 드리면 똑같은 견적을 의뢰해도 포워딩마다 청구하는 항목은 다르더라구요.

용어뜻도 모르겠고 왜청구 되는지도 모르겠고 관련 정보 도움될만한 사이트나 아니면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ens charge / terminal handling charge /seal fee / wharfage /ams charge /export service

부산신항에서 출항하는 경우가 많아서요.

서류마감일자에 맞춰 보통 출고를 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서류마감일자 보다 반입일자가 늦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이런경우는 어쩔수 없이 보관료를 지불해야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문의하신 비용 항목들 중에서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청구되는 항목입니다. 다만, 포워더마다 청구되는 항목이 한두가지씩 상이할 수 있는데 아무래도 잘 모르는 경우 그냥 그런가보다 하면서 넘어가기 마련입니다. 아무래도 포워더들도 비용항목으로 이런 저런 이유로 넣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히 그 비용이 왜 청구되었는지를 정확하게 물어보시는게 좋으며, 의심이 가신다면 다른 포워더와 비교를 통해 확인해보는것을 권장드립니다. 최근에는 포워딩 비교/견적 스타트업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최대한 비교해보시어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하지 않는것이 좋다고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포워더마다 청구하는 항목이 다른 경우는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거나 혹은 서비스가 동일한 경우 이를 산정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단하게 서비스 항목들 그리고 전체 총액을 기준으로 구분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비용의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ens charge - 선적지에서 화물의 도착 예정인 유럽 세관 측에 사전에 적하목록을 신고하는 비용

      terminal handling charge - 터미널 핸들링 차지로 터미널에서 물품을 움직이는데 드는 비용을 뜻합니다.

      seal fee - 컨테이너 봉인비입니다.

      wharfage - 부두사용료

      ams charge - 선사가 세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용을 뜻합니다.

      export service - 수출신고비용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THC(Terminal Handling Charge): 항만 터미널에서 화물을 하역, 적재, 보관, 운송하는 데 발생하는 수수료입니다.

      Seal fee: 화물의 컨테이너를 봉인하는 데 사용되는 씰의 비용입니다.

      Wharfage: 항만에서 화물을 하역하거나 적재하는 데 사용되는 부두의 사용료를 말합니다.

      AMS(Automated Manifest System) charge: 적하목록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수수료입니다.

      Export service: 수출 물품을 수출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비스, 예를 들어 통관, 포장, 운송 등을 아우르는 용어입니다.

      서류마감일보다 출고가 늦는 경우라면 출고신청을 전날하시고 픽업일정을 재확인 하시는 편을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ens charge는 선사에서 유럽세관에 EDI 신고시 발생하는 경비항목이고 B/L 건당 청구된다고 합니다.

      terminal handling charge는 THC라고 많이 부르는데, 터미널 화물 처리 비용을 말합니다. 즉 CY(컨테이너 야드) 내에서 화물을 처리하고 이동시키는 데에 따르는 화물 처리비용을 말합니다.

      seal fee에서 Seal은 컨테이너 내장화물의 안전을 위해 컨테이너 적입 상태에서 봉인표시를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아주 쉽게는 자물쇠를 채운다정도로 생각하면 되는데, 이러한 실 처리를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Seal fee라고 부릅니다.

      wharfage는 부두를 거쳐 가는 모든 화물에 징수하는 요금으로 선박입출항료, 접안료, 정박료, 계선료, 화물입출항료 등을 말합니다.

      ams charge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을 진행할때 출항 전 24시간 이내에 수출신고하는 비용을 말하는데, AMS ( Automatic Manifest System )는 미 관세청의 적하목록 시스템 미국 입항 화물을 사전에 전자 문서로 미 세관에 신고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export service 물류환경에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말그대로 수출을 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비용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ens charge : 선적지에서 화물의 도착 예정인 유럽 세관 측에 사전에 적하목록을 신고하는 비용

      terminal handling charge : 해상 운임 중 정기선의 기타 운임 중 하나로 CY 내에서 화물을 처리하고 이동시키는 데에 따르는 화물 처리비용

      seal fee : 컨테이너 자물쇠 장착 비용

      wharfage : 부두를 거쳐 가는 모든 화물에 징수하는 요금, 부두사용료 입니다.

      ams charge : 선적지에서 미국 세관에 사전에 적하목록을 신고함으로 발생하는 수수료

      export service : 수출 서비스 비용으로 포워딩에서 청구하는 비용으로 보여지나, 비용명목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아래 내용은 물류용어를 참고하실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http://www.nyil.co.kr/board/board.php?bo_table=material&idx=46

      추가로 서류마감일, 카고마감일은 보통 배의 접안일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반입가능일자는 접안일 전 ~일(보통 3~5일)까지 이며, 해당 내용을 파악하실 수 있는 게시글 첨부드리오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kynalaq&logNo=222623987367&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