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조선시대 양반들은 병역 의무가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16~60세 남자는 병역의무가 있었다고 알고 있는데요

근데 지배 계층인 양반들도 병역의무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조는 국방 강화에 크게 주력하여 병역 제도가 정비되고 군사 조직이

      강화되었습니다. 병역은 양인 개병과

      병농 일치를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즉, 16세 이상의 양인 장정들은 누구나 군역을 져서 현역 군인이 되거나 또는

      군인의 비용을 충당하는 봉족(보인)이 되어야 했으며, 그것은 양인 농민이 자유 평민으로서 가지고 있는 권리에 대한

      댓가이기도 하였습니다. 노비는 권리가 없기 때문에 군역의 의무도 없었습니다.

      출처:우리역사넷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병역제도는 원칙적으로 양인 개병제입니다.

      16~59세 사이 양인 남성은 특별한 질병이나 다른 노역에 동원되지 않는 한 누구나 병역의 의무를 맡아야 했습니다.

      여기서 양인은 양반, 상인, 농민을 가리키며 천인을 제외한 모두가 병역대상이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병역 의무가 있었습니다. 천민이랑 노비를 제외한 나머지 계층은 전부 군대를 갔어야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남자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의무적으로 군대에 다녀와야 했지만, 양반은 면제받거나 대리인을 보내는 방식으로 군 복무를 피할 수 있었습니다. 어떤식으로든 피하는 것도 지금하고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양반은 기본적으로 정치적, 문화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무력과 전쟁을 경멸하는 사상이 있었지만, 현실적으로도 가고 싶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