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후루뚜
후루뚜24.04.03

담 증상은 왜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나이
3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담 증상은 왜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가끔 스트레칭을 하거나 몸을 움직일 때 쥐나는게 아니고 담이 올 때가 있는데,

어떤 경우에 담이 오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주로 "담이 났다"고 표현되는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근육이나 근막에 외상, 과도한 사용, 부적절한 자세,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을 주로 호소합니다. 주로 30대와 40대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50세 이상의 중년부터 노년층에서도 흔히 발생합니다. 때때로 사람들은 뒷목의 지속적인 통증으로 중풍이나 고혈압과 같은 뇌혈관계 질환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지만, 이것이 근막통증증후군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생소한 이름과는 달리 이 질환은 매우 흔한 편이므로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인 근막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몸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근육이 손상되어 근막에 단단한 결절처럼 통증 유발점이 생깁니다. 이곳을 누르면 국소적인 통증과 함께 연관된 부위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은 몸의 모든 근육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뒷목, 머리, 어깨 주변, 허리 근육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근육의 과도한 사용, 부적절한 자세, 외부 충격, 운동 부족, 근골격계의 퇴행성 변화,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통증은 지속적이거나 주기적일 수 있으며, 경미한 것에서부터 깊고 넓게 분산된 통증까지 다양합니다. 통증으로 인해 근육 경련, 운동 범위 제한, 근위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장시간의 자세 유지 후에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담이라는 진단은 없으며 대부분은 경추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라운드 숄더와 거북목이 원인인 경우가 많고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과 화면 높이가 너무 낮게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올바르지 않은 앉는 자세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원인을 교정하고 맥킨지 신전 운동같은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담의 경우에는 근육 및 인대 등이 갑작스럽게 과도한 부담을 받을 경우에 발생하게 됩니다. 스트레칭을 무리하게 하거나 무리한 운동을 할 때 흔히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