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으면 나라에서 돈을 준다고 아이를 낳으라고 하는것
분명 취지는 아이를 낳으면 그만한 지원을 해주며 양육에 도움을 주는것 같지만 나라에 지원을 받기위해 아이를 낳는 악용이 생길 수 있어 새로 태어나는 아이들의 미래는 어느정도 책임을 질 수 있는 능력과 경제력은 갖춘 상태에서 낳게 해야하는거 아닌가 싶어요
쉽게 데려올 수 있는 반려입양 문화도
데려오는건 누구나 데려와
책임지지 못해 생기는 유기 등 문제에 대해선
제대로 된 제도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이러한 문제가 대두될수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적인 금전지원보다는 다양한 서비스 지원이 양육에는 더좋을수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 부분은 상당히 정책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높습니다. 역설적으로 말하자면, 아무리 돈을 지원해 주어도 선뜻 아이를 낳지 않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단순히 그 지원만으로는 아이를 키우는 데에 부족하다는 의미일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단순히 그러한 금전적 지원만으로는 아이를 책임질 자신이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단순한 지원뿐만 아니라 그러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사회적인 제도 개선과 인식 개선 등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굉장히 좋은 지적이라고 생각하고, 비단 아이를 낳고 키우는 문제를 넘어서 반려동물 문제 등에서도 시사점이 있다고 보여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낳았다면 그 책임은 당연히 부모의 몫 입니다.
그러나 나라의 지원은 받기 위해서 아이를 낳는다 이러한 생각은 정말 해서도 안되고,
아이를 키울 생각도 없는데 돈만 받겠다 라는 생각은 아이에 대한 배려심이 부족한 행위 입니다.
아이를 생각 한다면 돈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이
아이에 대한 사랑 관심 애정 그리고 아이에 대한 배려와 존중 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배제한 체 단순히 나라에서 지원해 주는 돈만 받겠다 라는 마음만 가지고 아이를 낳고 책임지지 못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부모로써 할 행동도 아니고 부모의 자격 또한 없습니다.
더나아가 입양은 체계적으로 더 구체화 해서 부모가 될 자격이 있는지 자격시험을 보아서 입양절차를 받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마도 국가에서는 출생률이 낮아서 여러가지 육아지원을 해주고 있지만 생각만큼 출산률이 올라가지않고잏어서 고민이 클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