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에서 필패하는 사람들의 특징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요
개미들 같은 경우에는 특히나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많이 하는것 같아요
그리고 실패하는 개미들의 특성도 있을것 같은데요 주로 어떤 면에서
실패를 많이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주로 과도한 자신감과 무계획적인 투자, 단기 수익에 대한 집착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특정 종목이 급등하면 그 이유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추격 매수에 나섭니다. 소위 '묻지마 투자'입니다. 주가가 조금만 떨어져도 불안감에 휩싸여 손절매를 합니다. 반대로 주가가 오르면 더 오를 거라는 욕심에 매도 시점을 놓치기도 합니다. '대박'을 꿈꾸며 테마주나 소문에 의존한 투기를 합니다. 재무 상태나 사업 전망보다는 '어떤 소식이 있다'는 카더라 통신에 더 귀를 기울입니다. 특정 종목에 큰 비중을 실어 투자합니다. 한 종목에 모든 것을 걸기 때문에 그 종목의 주가가 하락하면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 왜 이 종목을 샀고, 언제 팔아야 할지 명확한 기준이 없습니다. 오르면 더 오를 것 같고, 내리면 더 내릴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매매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빠른 수익을 위해 급등주를 쫓아가는 투자를 하는 경우에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한 경우 매수와 매도를 예술로 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그렇게
하기가 어렵기 에 손실을 봅니다
손절 후에 다른 급등주를 쫓아가는 형식으로 투자하다 보면 금새 투자금이 녹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서 손실을 크게 보는 사람들 보면 공통점이 좀 있습니다. 단기 수익에 집착하거나 뉴스에 휘둘려서 매수 매도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특히 개미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손실이 나도 끝까지 버티다가 더 큰 손해를 보는 패턴이 자주 거론됩니다. 반대로 이럴 땐 손절을 빠르게 끊는 게 낫습니다. 또 종목 분석보다는 분위기에 휩쓸려 들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뭐랄까 자기만의 기준 없이 남 따라가다 보니 흔들리는 거죠. 제 입장에서는 장기 전략 세우고 분산 투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너무 단타로만 접근하면 마음도 지치고 성과도 안 나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에 대한 실패하는 사람들은 손절을 하지못한다. 분할매매를 하지 못한다. 종녹에 대한 연구보다는 근거없는 믿음에 따라 투자를 하고 하락추세에서도 어떠한 대응을 하지 않는다는 특징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것만 고쳐도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충분한 분석 없이 묻지마 투자를 하거나 단기 급등에 추격매수하는 경우 손실 확률이 높습니다. 손절 기준이 없어 하락을 방치하거나 반대로 잦은 매매로 수수료만 늘리는 것도 흔한 특징입니다. 결국 실패는 계획 부재, 심리 불안, 정보 의존이 원인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개인투자자의 가장 치명적인 실패 요인은 손실 회피 편향입니다. 개미투자자들은 수익이 나면 성급하게 매도하고 (예를들면 10% 수익 시 즉시 매도), 손실이 나면 회복될 때까지 기다리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러다보니 강제적인 비자발적 장기투자로 가는 우를 범하는것입니다. 이는 이익은 상단은 막혀있고 손실의 범위는 매우 크게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필패의 지름길입니다. 또한 주변에서 특정 종목으로 큰 수익을 올렸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충분한 분석 없이 뒤늦게 뛰어들어 고점에서 매수하게 되는 FOMO심리도 문제입니다.
특히 마지막으로 자신이 보유한 종목에 대한 호재는 과도하게 믿고, 악재나 반대 의견은 무시하거나 합리화하려는 경향이 강해 객관적 판단을 방해하는 확증편향이 투자의 실패를 하는 결정적 요인중 하나인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에서 실패하는 개인 투자자들은 단기 급등 소문에 휩쓸려 추격 매수, 손절 분할 매수 원칙 부재, 기업 분석없이 감으로 투자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고영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 실패하는 이유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심리적인 이유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주가가 급등했을 때 따라서 사는 경우 : 높은 평단가
회사의 이익이 크게 개선되어서 일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뉴스에서 테슬라 납품 등 호재성 기사가 나와서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이유든 주가가 급등한 종목을 그 날 또는 며칠간 매수하는 것은 조심해야합니다. 물론 호재가 실현되서 지속적인 상승을 할 수도 있지만, 설령 그렇더라도 조정이 오기 때문에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손절매를 못하는 경우
주가가 계속 떨어지는 경우 사람들은 단기 투자자에서 갑자기 장기 투자자가 됩니다.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를 미리 정하고 매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떨어진 종목은 다른 종목에서 회복할 수 있지만 3%, 30%, 50% 점차 떨어지게 되면 복구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 경우는 손절매를 짧게 해서 다른 종목에서 회복하거나 회사 자체에 이상이 없으면 분할 매수를 통해서 평단가를 낮추거나 전략을 미리 결정하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만 수익이 나도 매도하는 경우
주식을 잘하려면 손실을 제한하고 이익을 달리게 해야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반대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금만 수익이 나다가 약간 조정되면 팔고 싶은 마음이 듭니다. 매수 후 8% 상승한 종목이 2% 떨어지면 팔고 싶은 게 사람 심리입니다. 6%라도 수익을 가지고 가고 싶기 때문입니다. 하락한 종목은 반대로 8% 떨어진 종목이 2%상승해서 6% 되면 더 올라갈 것으로 기대하고 팔지를 않습니다.
2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손절매를 짧게 하고 이익이 나는 경우에 회사를 믿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요인이 더 궁금하시다면 행동심리학을 참고하시면 더 좋으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제 생각에 주식투자에 실패하는 많은 분들이 감정조절에 실패해서 무리하게 매매하다가 손실이 크게 나는 경우가 많은거 같습니다 결국 이게 여기까지 하락해 더 사자 더 사자 하다가 큰 폭락 후 주가가 회복 못해서 크게 손실을 보는게 대부분이거든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물타기와 감정적 집착으로 손실 종목을 오래 끌고 갑니다. 손절하는 방법도 쓸수 있어야 합니다.
검증되지 않은 정보나 지인의 말에 휘둘려 매매 결정을 내리거나 분산 없이 한 종목에 몰빵하거나, 공부 없이 단기 수익만 추구합니다.
필패의 길은 늘 익숙하고 감정적인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투자에서 필패하는 사람들의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주식 투자로 필패하는 것은
한 종목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몰빵 투자를 하게 되면
필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실패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체로 명확한 전략 없이 감정에 휩쓸려 매매하고, 단기적인 수익에 집착하며 조급하게 행동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즉흥적으로 잘못된 정보에 반응하고 위기 상황에 대비할 여윳돈 없이 조바심을 내서 무리한 투자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