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염기의 호변이체가 발생하면 염기쌍은 어떻게 수소 결합을 변환시키나요?

안녕하세요. 염기의 경우에는 다른 이성질체로의 변화가 쉽다고 하던데 아미노염기가 이미노염기로 바뀌거나 케토염기가 엔올 형태의 염기로 바뀌었을 때 기존의 아데닌과 티민 사이의 이중 수소결합 구아닌과 시토신 사이의 3중수소 결합이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염기가 호변이체로 바뀌면 수소공여기, 수소수용기 위치가 달라져 기존 짝과의 수소결합 패턴이 변화가 생긴답니다.

  • 염기의 아미노 또는 케토 형태가 각각 이미노 또는 엔올 형태로 바뀌는 현상을 호변 이성질화라고 합니다.

    이는 수소 원자의 위치가 바뀌면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이성질체 변화는 DNA 이중 나선 구조의 정상적인 염기 쌍 규칙을 깨뜨립니다.

    예를 들어, 아데닌이 이미노 형태로 변하면 정상적인 티민 대신 구아닌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구아닌이 엔올 형태로 변하면 정상적인 시토신 대신 티민과 결합하게 됩니다.

    이처럼 비정상적인 염기 쌍이 형성되면 DNA 복제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원래의 염기와 다른 염기가 삽입되는 점 돌연변이를 유발하게 되는데, 이는 결국 DNA의 유전 정보에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원인이 됩니다.

  • 염기의 호변이성질체 발생은 염기 분자 내 수소 원자의 위치를 변경시켜, 수소 결합의 공여체와 수용체 패턴을 바꾸기 때문에 기존과 다른 염기쌍을 형성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데닌이 일반적인 아미노 형태에서 드문 이미노 형태로 바뀌면, 원래 티민과 결합하던 수소 결합 부위의 특성이 변하여 시토신과 비정상적인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구아닌이 케토 형태에서 엔올 형태로 바뀌면 수소 결합 패턴이 아데닌과 유사해져 티민과 잘못된 염기쌍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결합 패턴의 변환은 DNA 복제 과정에서 염기 서열의 오류, 즉 점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분자적 원인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염기는 자연 상태에서 아미노형과 케토형과 같은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는데요, 그러나 이성질체 형태로 쉽게 전환될 수 있으며, 이때 수소 위치와 이중결합 위치가 바뀝니다. 우선 아미노형은 이미노형으로 쉽게 전환이 가능하며, 케토형은 에놀형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이런 전환은 짧은 시간 내에 일어나지만, DNA 복제 중에는 잘못된 수소 결합 형성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원래 정상적으로는 아데닌의 아미노(NH₂) 그룹과 티민의 케톤(O) 그룹이 수소 결합을 형성합니다. 다만 아데닌이 이미노형으로 전환될 경우에는 정상 티민과 결합하기 어려워지고, C와 수소 결합 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정상적으로는 구아닌의 케톤과 아미노 그룹, 시토신의 아미노-케톤 그룹 사이에 3개의 수소 결합을 형성하지만 구아닌이 엔올 형태로 바뀌게 될 경우에는 티민과 비정상적인 수소 결합 형성 가능해지면서 복제 오류를 유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