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사용 시 일시불보다 할부건이 많으면 신용도에 안 좋게 작용할 수 있나요?
요즘 일시불보다 고가의 물건을 사다보니 할부 건수가 늘고 있습니다.
카드 사용실적기준치만 충족되면 체크카드만 사용하는데 비싼 물건을 구입하게 되고 지출이 정해져 있는 걸 맞추다보니 할부로 하게 됩니다. 2개월 전부터 할부건이 여러 건인데 일시불보다 할부건이 많으면 신용점수에는 더 안 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할부로 결제한 건수가 많다고 해서 신용점수에 즉각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할부를 자주 사용하면 상환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신용 점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할부 상환이 제때 이루어지는지, 총 부채가 과도하지 않은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신용점수에는 신용카드 총한도에서 40프로 이내로 연체나 할부 없이 장기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연체를 시키지 않아도 장기간 할부거래를 지속하면 신용점수에는 안 좋을 수 있다는게 정설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할부 건수가 많으면 신용도에 안 좋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인 할부 건수는 괜찮지만 할부 건수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신용평가사에선 이런 할부를
대출금액으로 인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할부건이 지속적으로 많아질수록 신용거래이력이 오랫동안 많이 남게 되고 그만큼 미래로 갚아야 할 부채가 많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됩니다.
즉 그만큼 부채대금이 커지는것이므로 신용도점수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거기다 장기부채로 이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연체위험성의 신호로 간주할 수 있어서 신용점수나 신용관리에 안좋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할부 결제는 나눠서 결제하기 때문에 카드 사용 금액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부채 증가로 인식합니다.
또한 할부는 장기간 상환하는 것으로 연체 위험이 증가하고 대출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은 전체 한도의 40%이내로 사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일시불 보다는 할부가 많다고 해서 신용점수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할부가 커져서 결제대금에 부담을 느껴 연체된다면 신용점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