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에서 처방받은 독세핀이라는 약에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정신과에서 불면증으로 독세핀이라는 약을 처방받아서 찾아보다가 궁금한게 몇가지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독세핀이 삼환계 항우울제던데 제가 알기로는 삼환계 항우울제는 좀 옛날 약이라 부작용이 좀 많을 수 있다고 알고있는데 독세핀은 그런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크지는 않나요?
그리고 제가 찾아봤을때 수면제 용도로써 독세핀 사용을 다룬 기사들이 꽤나 최근에 작성된걸로 보여서 독세핀이라는 약을 수면제 역할로 쓴게 꽤 오래됐는지 아니면 최근에 좀 쓰기 시작한건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독세핀은 고용량사용시 우울증치료제로 부작용이 동반될 우려가 있지만 저용량 사용시 비교적 안전하게 불면증에 효과를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독세핀은 삼환계 항우울제로 분류되며, 불면증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비교적 오래된 약물이기에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같은 신약에 비해 부작용 발생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 독세핀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구강건조, 변비, 시야 흐림, 체중 증가 등이 있습니다. 다만 저용량으로 사용할 경우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며, 불면증 개선 효과는 충분히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불면증 치료제로서 독세핀의 사용은 꽤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습니다. 최근 들어 노인 불면증 환자나 만성 불면증 환자에게 독세핀 처방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의를 통해 적절한 용량을 처방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독세핀은 항우울제로 쓰기도 하지만 저용량으로 사용할 때는 불면 치료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검색해보신 그런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은 크지 않죠.
그래도 개인마다 약물에 반응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불편하신 부분이 있다면 의사와 상의해서 용량 조절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독세핀의 작용기전과 부작용에 대해설명드리고
다른약에 비해 가질수 있는장점에 대해서도 설명 드리겠습니다.
단순히 옛날약 최근약 으로 구분지어 장단점을 설명할수는 없으며
현재도 많이 사용하는 약제 입니다.
독세핀의 작용 기전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어 각성 효과를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인 히스타민 대신 대뇌피질 세포 표면의 H1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길항작용을 통해 수면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독세핀의 수면 유도 효과는 항히스타민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진정 작용이 있는 항우울제를 불면장애의 장기 치료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 이유는 항우울제가 습관성을 가지지 않더라도 주간 졸림, 두통, 항콜린성 부작용, 체중 증가, 하지불안 증후군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독세핀은 다른 항우울제와 달리 인지기능 저하가 적어 노인에게도 비교적 안전합니다. 벤조디아제핀계 향정신성 수면제와는 달리 환각, 금단 증상, 의존성, 기억력 장애 등의 부작용과 오남용 우려가 거의 없으며, 처방일수 제한도 없습니다. 또한 수면 중 깨는 시간과 횟수를 줄여 이른 아침에 일찍 깨어나는 조기각성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독세핀은 디벤족세핀 유도체로, 삼환계 항우울제로서 중추신경계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이 신경절전 뉴런에서 재흡수되는 것을 억제하여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독세핀은 허가사항을 초과한 용법으로 만성 두드러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강력한 H1, H2 수용체 길항 활성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파마독세핀정은 '독세핀염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향정신성 수면제로, 기존 향정신성 약물이 가지고 있는 내성 및 부작용 문제를 줄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향정신성 수면제는 금단 증상, 의존성, 기억 장애, 오남용, 내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세핀은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진정 수면 효과를 제공합니다. 또한, 불면증 환자에게 가장 많이 처방되는 졸피뎀이 4주 이상 처방이 금지되는 단기 치료제인 반면, 독세핀은 삼환계 항우울제로서 수면 유지가 어려운 불면증의 단기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