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불안 증세가 있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집에 혼자 10분정도만 있어도 수시로 엄마한테 전화해서 어디있냐고 빨리오라고 계속 전화하는데 이러한 불안증세 고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집에 혼자 10분정도만 있어도 수시로 엄마한테 전화해서 어디있냐고 빨리오라고 계속 전화하는데 이러한 불안증세 고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불리불안의 경우 아이와 즐겁게 놀이하기가 중요합니다. 분리불안의 치료를 위해서는일반적으로 놀이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많은 증상 중에서 분리불안은 놀이치료에 의한 효과가 높게 나타납니다. 아이들이 엄마와 심리적으로 분리될 때 편안함을 주는 곰 인형이나 담요에서 위로를 얻듯이 아이들은 즐거운 놀이를 통해서도 엄마와 헤어지는 심리적인 불안을 달랠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불리불안장애는 쉽게 말해서 혼자가 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분리불안장애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성인이 되어서 분리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분들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동기에 증상이 시작되었다가 극복되지 않아 성인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10대 후반이나 성인기에 이러한 증상이 시작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최근 핵가족의 문화, 단절된 이웃과의 관계,
지나친 경쟁, 개인주의, 불안한 사회적 상황 등으로 인하여
충분하지 않은 사랑의 결핍과 과잉보호, 과도한 불안 정서가 형성되어
이러한 증상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분리불안장애 증상은 무의식에 드리워진 불안을 제거하여
정서 변화를 필요로 하며 성격의 변화를 통하여
행동 교정이 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것을 다루는 영역이 심리치료이며, 전문상담기관을 방문하여 상담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니 참고하세요.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직은 혼자있기 힘든 아이인가봅니다.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시고 혼자 있어도 아무 문제 없다는 이야기를 자주 해주세요.
평소 부모님과의 애착이 잘 형성된 경우 아이들의 독립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으니 함께 있는 시간 동안 아이에게 집중해서 케어해주시고
떨어져 있는 시간은 조금씩 늘려가시길 권합니다.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