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플레이션과 피셔효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피셔효과는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경제용어로 물가상승, 명목금리, 실질금리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이라고 하는데, 인플레이션일 때 피셔효과가 왜 자주 거론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피셔효과는 인플레이션율의 변동이 명목이자율의 변동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피셔방정식에 따라 명목이자율은 실질이자율과 기대인플레이션의 합으로 도출됩니다.
이에 따라 예상 인플레이션이 경직적인 단기에는 명목이자율 변동 시 실질이자율에 변동을 가져올 수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피셔효과는 시중금리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기대심리등 두 관계를 나타내는것으로 명목금리는 실질금리와 인플레이션율의 합이라고 보시면 될듯하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피셔효과는 명목금리, 실질금리, 예상 인플레이션 등을 통하여 시중금리와
인플레이션의 기대심리의 관계에 대한 이론으로 인플레이션과 아주 밀접하기 때문에
계속 거론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피셔효과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는 인플레이션 예상치와 같다라고 할때 현재 명목금리가 4% = 기대인플레이션 2% + 실질금리 2%로 계산되는데 만약 실제 인플레이션이 4% 이상으로 넘어가면 오히려 최초 예금한 금액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때 이자를 받더라도 원금대비 실질적으로는 손해가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