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귀요미판다곰198
귀요미판다곰198

동학농민운동의 동학과 농민을 함께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동학농민운동, 동학농민혁명에서 동학과 농민이 함께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동학과 농민 운동을 사용하게 된 계기와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동학농민운동은 동학이 주도하고 농민이 참여한 농민운동이라는 개념입니다. 동학은 몰락 양반 최제우가 1860년 창시한 신흥 종교입니다. 그런데, 1864년 교조 최제우가 혹세무민죄로 처형된 이후 꾸준히 동학의 교세는 확산되었습니다. 그러나 동학이 정부로부터 인정받지 못하여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합니다. 특히 보은집회 때 동학 교도 이외에도 농민들이 대거 참여하고 반봉건, 반외세 구호가 등장하면서 정치 운동으로 발달합니다.

    즉 동학의 주도로 지배층의 수탈과 외세의 침탈로 고통받은 농민들과 공감하면서 함께 일어난 반봉건, 반외세 운동이기 때문에 동학농민운동이라 합니다.

  • 동학은 최재우가 창시한 종교입니다. 당시 조선은 괸리들의 수탈등으로 피지배층인 농민의 어려움은 가중되어 갔습니다.

    동학의 사상인 '후천개벽'은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며 암울한 현실에 빠진 농민들에게 희망과 의지를 주었습니다. 또한 '인내천'이라하여 사람이 곧 하늘과 같다하여 세상에는 빈부귀천이 없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사상들은 당시 지배층에게는 매우 위험해보였고 교주를 처형하는등 탄압이 심해졌습니다. 이에 농민들을 총궐기를 통해 나라에 저항을 하였고 이를 동학농민운동이라고 합니다.

  • ✅️ 동학이라는 사상을 근거로 해서 농민들이 떼를 지어 일으킨 운동이기 때문에 동학과 농민이라는 용어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며, 사실상 '천도교'라는 사상이 해당 운동의 근간이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