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크레아티닌 수치 변화 좀 봐주세요
건강검진 물 포함 금식 상태
2021년 1.21
2023년 1.3
전날 물 3리터+당일 100ml정도 물 마시고 검사
2024년 1.07
21년부터 노가다를 시작했고 22년 10월부터 헬스를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이 운동하냐고 물어볼 정도의 균형잡힌 몸이긴 했습니다.
2023년 수치가 1.3 나왔을 때 의사 선생님은 물을 안 마시고 운동한 사람은 그 수치가 나올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2024년 건강검진 받았을 때는 물을 좀 많이 마신 기억이 있습니다.
전날 물 3리터+당일 1~200ml정도 마시고 검사했고 1.07 나왔습니다.
물을 마시면 크레아티닌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고 하는데 저 정도의 물도 영향을 주는지요?
그리고 지금까지 모두 아침 첫 소변이 아닌 두번째 소변으로 검사 했고 단백뇨, 혈뇨 모두 정상이었는데 아침 첫 소변으로 검사해야 한다는 말이 있더라구요.
혹시 제가 지금까지 잘못 검사했던 걸까요?
다음 달에 건강검진이 있는데 제가 건강염려증이 있어서 이번에 수치가 안 좋게 나올까봐 하루종일 불안하고 우울한 상태입니다...
만약 크레아티닌 수치나 단백뇨에 이상이 생긴다면 투석까지 받을 확률이 많이 높은지요..
자꾸 인터넷에 수치랑 증상 검색해가면서 불안함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물을 많이 마시면 혈정 크레아티닌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 대량의 물을 말하는 것이며 3liter를 마신다고 해서 혈액검사 결과에 변화가 생겼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근육질의 몸의 경우 혈청 크레아티닌은 높게 측정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운동을 하시는 분들 특히 프로틴 드시면서 근육 mass 를 키우는 분들은 일반분들과는 약간 다른 기준을
자체적으로 적용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신장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신장기능이 체중이나 근육의 부피 때문에 일반적인 수치와 다르게 측정이 되는 경우 신기능의 보다 정확한 측적을 위하녀 사구체여과율(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라는 수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검사에서 이 수치는 같이 나오니 이를 한 번 확인을 해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크레아티닌 수치는 1.07~1.3 사이로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있습니다. 건강한 성인 남성의 정상 범위는 0.7~1.4mg/dL 정도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수분 섭취는 실제로 크레아티닌 수치에 영향을 줍니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면 혈액이 희석되어 수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을 많이 하는 분들은 근육량이 많아 기본 수치가 조금 높을 수 있어요.
소변 검사는 두 번째 소변으로 하셔도 괜찮습니다. 첫 소변은 밤새 농축되어 있어 특정 검사에 유용하지만, 크레아티닌 측정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단백뇨와 혈뇨가 없고 수치가 정상 범위라면, 투석까지 가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지나친 걱정은 하지 마세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다 정상 범위 안이고 그러면 저정도 기복은 별로 걱정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검사 진행한 담당의도 같은 소견이구요
아침 소변이 좋다는거지 오후에 측정한다고 무조건 결과를 신뢰 못하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단백뇨 조금 보인다고 무조건 투석 하는 것도 아니구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