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가 울 땐 기저귀를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배가 고파서 울 수도 있으니 바로 수유를 하셔야 합니다.
배가 고파서 우는 게 아니면, 아가의 속의 불편해서 보챌 수 있고, 계속 젖을 빨려고 하면 쪽쪽이를 물려도 되는데 6개월 이전엔 떼셔야 합니다.
아가가 울 땐, 낮은 목소리로 자장가를 불러주고, 가볍게 흔들어서 재워 주세요
또 방안 습도도 꼭 체크하시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통잠도 가능하니 여유를 가지고 지켜 보시길 바랍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
육아에서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시군요.
이번 상담이 꼭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00일 된 아기는 수유나 잠드는 시기가 들쑥날쑥 하긴 합니다.
그렇지만 하루 종일 눕히기만 하면 울고 있다면,
한 번에 먹는 수유량이 모자라거나 영아산통에 의한 울음을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일단, 최근 체중이 잘 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하시고
한 번에 어른 손바닥 크기 이상 젖은 소변 기저귀가 하루 최소 6회 이상 보통 8-10회 정도 보는지
부터 확인해 보신 뒤
여기에 해당하면서도 눕힐 때마다 울고 있다면 영아산통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이들은 울 때 자세히 보면 두 가지 3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1. 배고플 때 (사실 배고프기 시작해서 좀 시간이 경과했을 때 웁니다.)
2. 졸릴 때 (이때는 확실히 졸려서 징징거림이라 구분하기 쉽습니다.)
3. 배가 아프거나 더부룩할 때 (영아산통에 해당합니다.)
꼭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아이가 배고플 때 첫 신호는 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배고픔의 첫 신호는 똘망 똘망 주변을 살펴보며 두리번거리고 해맑게 웃는 등
마치 엄마를 찾으며 놀아달라는 듯한 행동입니다.
신생아는 시력발달이 거의 없어서 놀고 싶다거나 엄마를 아직 알아보지 못하는데
이런 행동은 배가 고파서 나오는 본능적인 행동입니다.
이 단계를 지나면 자지러지게 우는데 이때는 배가 이미 많이 고파진 상태인 거죠.
반대로 영아산통은 배에 가스가 차서 우는 것으로
똘망거리는 배고픔의 전조증상이 없이 처음부터 아픈 듯이 끙끙거리는 양상이 동반됩니다
배에 가스가 차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흔한 건 수유하면서 재우는 습관 때문입니다.
아이는 졸릴 때는 어느 정도 징징대면서 자야 오히려 푹 자는데
완전히 잠이 들 때까지 수유를 하시면 배에 가스가 찰 수밖에 없지요.
그런데 문제는, 영아산통 때문에 배가 아파서 울 때조차
수유를 하면 잠깐 울음을 멈추고 다시 먹으면서 잠이 든다는 것입니다.
이는 <빨기 반사>라고 하는 신생아 시기의 자동 신경 반사 기능 때문입니다.
즉, 울어서 먹였더니 순간 잠이 든다고 해서 배가 고팠던 것은 아니라는 것을 꼭 기억해 주세요.
요약 드리면
1. 지금 배가 고파서 우는지, 졸려서 우는지, 배가 아파서 우는지 관찰하시고
2. 체중도 잘 늘고 소변도 충분히 보는 아이가 똘망거리거나 두리번거리는 배고픔의 전조 없이
처음부터 끙끙대고(특히 새벽시간) 운다면 영아산통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3. 영아산통이 의심되면 졸릴 때 끝까지 수유하는 습관을 교정하시고,
배에 가스가 빠질 수 있는 바운서 등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수유간격은 1시간이었다가 4시간이었다가 들쑥날쑥 한 것이 정상적이므로
배고픈 징후가 있을 때는 무조건 간격을 두지 마시고 수유하시기 바라며
최대 5시간 이상 수유를 하지 않고 자고 있는 경우엔 무조건 깨워서 먹이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를 하면서 스트레스가 많으실듯합니다.
100 일이라면 아이를 육아하는데 많이 힘들때이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아이가 조금씩 수면시간이 늘고 시간적 여유를 가질수있는 시간을 가질수있을것이니 힘내시길 바랍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부모들은 아이가 울면 울음을 멈추게 하려는 데만 급급하다. 큰 아이가 울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왜 울어. 그만 울어. 바보처럼 왜 울어” 하며 혼내기도 합니다. 아이가 울음을 터뜨리는 이유는 불편한 감정 때문인데, 감정의 정체를 밝히려고 하지 않고 아이를 윽박지르고 나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의 미숙한 감정과 정서는 개선되지 않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