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주식 상승이 얼마 못갈거라 생각하시나요?
이번에 미국 주식이 다시 상승하고 있는데 혹시 이 상승이 얼마 가지 못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트럼프가 자꾸 말을 바꾸고 있고 관세정책을 포기하지 않아서 주가 상승 랠리가 곧 사그라들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 상승이 얼마 못갈 것이라고 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내 경제에 관해서
불확실성이 상존할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주식 상승이 오래가진 못할 것 같습니다.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저도 예측투자를 통해 롱, 숏으로 번갈아 가며 단기 트레이딩을 해보다가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단기 변동성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지만 결국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는 성장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지수추종 etf만 꾸준히 분할적립식으로 매수하여 좋은 투자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워렌버핏 등 많은 투자전문가들의 조언대로 경제의 장기성장성을 믿고 지수추종 etf에만 투자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증시의 단기 방향성 예측은 매우 어려운 문제입니다 트럼프 관세정책이 지금 잠시 누그러든 상황이라서 단기 반등 중이지만 이게 대세 상승으로 갈지 다시 하락할지는 예측하긴 어렵습니다
일단 5월 미국 FOMC 기준금리 동결이 유력시 되지만 6월 FOMC 에서 기준금리 인하확률은 60프로 정도로 미국 경제전문가들이 예상하는 상황입니다 6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한다면 미국증시가 다시 상승할 확률이 높지 않을까 생각하는 정도입니다
미국 증시는 장기투자로 보면 꾸준히 우상향하니 미국증시가 안 좋은 현재 상황은 매도보다는 매수쪽으로 접근하는게 좋은 판단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시점에서 미국의 주식 상승세가 얼마 못 갈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시장에 단기적인 변동성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관세 정책과 관련된 언급은 글로벌 무역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여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 여부입니다. 대선 결과, 의회 구성 등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 정책 실행의 가능성과 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도 관세 정책 발표에 따라 시장이 일시적인 조정을 겪었지만,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기업 실적 개선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간 측면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는 현재 너무 혼란한 상황입니다.
미중 무역협상도 만족스럽지 못하며 아직까지도 관세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보이지 않으며 당분간은 큰 이슈가 없다면 상승세 힘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쪼록 성공적인 투자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 상승이 지속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트럼프의 발언과 관세 정책이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상승 랠리는 단기적인 반등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과 정치적 리스크로 인해 쉽게 사그라들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주식은 미국의 관세 전쟁으로 30%이상 하락했으며, 해당 이슈가 점차 해소될 기미를 보이면서 악재의 소멸도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요한건, 관세로 인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시장이 악화된 흐름을 보인다면 재차 하락으로 전환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전고점을 갱신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과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우상향을 보였고
트럼프의 정책으로 변동성이 있을 수있겟지만
어느정도 장기적으로는 우상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지 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주식 시장의 반등은 일시적인 관세 유예라는 호재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잦은 정책 변화와 관세 정책 고수, 그리고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는 여전히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실제로 관세 정책 관련 발언이 번복되거나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며 변동성을 키우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 기관들은 관세가 현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미국의 성장률 둔화는 물론, 스태그플레이션이나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경고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미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일부 기관에서는 미중 협상 진전 등을 가정하며 연말까지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하지만, 이는 관세 정책 완화라는 전제 조건하에서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반대로 관세가 장기화되고 보복 관세가 확대될 경우에는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반등을 섣불리 장기적인 추세 전환으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투자자께서는 단기적인 움직임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글로벌 무역 상황을 주의 깊게 살피면서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리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며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경 쓰셔야 할 때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흠. 어려운 질문 이네요 ^^
우선 최근 미국 주식 상승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 완화 기조와 향 후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인한 것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트럼프 관세 강경 기조가 완전하게 없어진 것은 아니기에 시장의 불확실성은 분명히 남아 있습니다.
이에 만약에 트럼프의 특히 대 중국과의 관세 협상이 진척이 되지 않는다면 관세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가시화 되면서 상승 랠리가 꺽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생각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말씀하신 것처럼 트럼프는 관세 정책을 철회하거나 완화할 가능성이 당장엔 없어 보이기에 다시 관세정책이 진행된다면, 주식들의 가격이 순식간에 급락할 우려가 있어서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