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이 전기를 어떻게 공급 받아서 운행하는지 궁금합니다.
지하철은 전기공급이 어떻게 되어서 그렇게 큰 힘을 내는지 궁금해요. 지하철의 전기 어떻게 공급하는걸까요? 지하철이 운행 중에 전기를 어떻게 계속 공급받는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지하철은 주로 제3궤조(Third rail) 시스템이나 가공전차선(OHE)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습니다. 제3궤조 시스템은 지하철 선로 옆에 설치된 전도성의 궤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전차의 하부에 설치된 집전장치가 이 궤조와 접촉해서 전기를 전달받습니다. 가공전차선은 지하철의 위쪽에 설치된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하며, 페턴그래프라는 장치를 통해 전력을 전달받습니다. 이렇게 공급된 전기는 모터를 통해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어 열차를 움직입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여러 변전소가 위치해 지속적으로 전력을 전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지하철은 주로 전기 공급을 통해 운행되며, 이를 위해 고압 전력을 활용합니다. 지하철 선로 옆에는 '전차선' 혹은 '지주'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곳을 통해 고압의 교류 전기가 공급됩니다. 지하철의 상단이나 하단에 있는 팬터그래프라는 장치를 통해 이 전기를 받아 모터를 구동하여 열차를 움직입니다. 팬터그래프는 고정된 전차선과 접촉하여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확보된 전기는 지하철의 모터뿐 아니라 조명, 냉난방 등 다양한 부문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시스템 덕분에 지하철은 일정한 강하게 운행할 수 있게 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지하철은 가공 전차선 방식과 지상 제 3 레일 방식 두 가지로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됩니다. 가공 전차선 방식은 지하철 위에 설치된 가공 전차선에서 전기를 받아 운행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대규모 전력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시각적으로는 보기 좋지 않고 낙하 위험이 있으며, 고속 주행 시에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지상 제 3 레일 방식은 지하철 옆에 설치된 제 3 레일에서 전기를 받아 운행하는 방식으로, 가공 전차선 방식에 비해 시각적으로 보기 좋고 낙하 위험이 적으며, 소음이 적지만 시공 비용이 많이 들고 전력 공급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공전차선 방식을 사용합니다
지하철 위에는 전차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변전소에서 이런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면 지하철에 지붕위에 잔기를 받아들이는 팬터그래프장치라는 것이 전차선과 마찰하며 미끄러지면서 전기를 공급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