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날 버스타면 멀미하는 이유가 있나요?
비오는날 출퇴근 시 버스 만석일 때 현기증을 자주 느낍니다. 현기증이 나면서 멀미 비슷하게 하는데요. 맑은날에는 버스 만석이어도 그렇지 않은데 유독 비가 오는날에는 이런 경험을 자주 합니다. 왜 이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음, 의료부분에 질문을 하시면 더 좋은 답변을 들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비오는날에 습하여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아지고, 또 사람이 많게 되면서 산소가 금방 떨어져 현기증을 느끼는 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비오는 날 버스에서 현기증이 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비가 오는 날은 대개 습도가 높아지고 대기 중의 먼지나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이 분산되기 때문에 공기가 매우 무겁고 불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버스 내부의 습도나 온도 조절이 불완전하여 차가워지거나 습기가 높아지면서 쾌적하지 않은 환경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환경 요소가 결합되어 시각과 전정기관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오는 날 버스를 이용할 때는 창문을 약간 열어 공기 순환을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적절한 식사 등으로 체력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비오는날과는 거리가 멉니다.
일상생활에서 느끼지못하는 진동이나 움직임, 다른 패턴의 움직임 등이 몸의 평형기관에 대한 새로운 자극을 주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멀미는 몸에서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귀 안의 전정기관이 자극을 받게 되면 생기는 현상입니다.
실제 일상적인 움직임과 감각기관이 느끼는 움직임이 불일치하면
뇌가 괴리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이 멀미 증상 입니다.
비가 올 때 특히 멀미가 난다면, 비 오는 날에 컨디션이 더 안좋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