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작은당나귀186
작은당나귀186

하품을 많이 하면 턱 탈골이 심해지나요

봄철이라 춘공중이 발생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하품을 자주하게 되는데 1시간에 30번 이상 하게 되면 턱 주의 근육이라던지 아니면 관절에 무리가 가지는 않을까 10번 이상으로도 무리라던가 증상을 보이는것은 없나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자유로운텐렉61
      자유로운텐렉61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하품을 너무 크게 하시면 턱관절에 무리가 올수 있습니다.

      일단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은 습관의 교정을 통해 줄일 수 있습니다.

      똑바로 누워서 자지 않고, 옆으로 누워서 자면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에 개선이 있습니다. 

      또한 금주를 하시는것이 좋고,

      체중줄이시는것이 좋습니다. 비만이 되면 목조직과 폐에 압력이 강해져서 호흡이 더 힘들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적당한 운동을 해주셔야합니다.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도있습니다. (항우울제 등)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심하면 수술치료 (목젖, 입천장 뒤쪽을 잘라내는 수술)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무리가 가므로 하품을 크게 하시면 안됩니다.

      턱관절이 아프시면 단기간에 치료가 끝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정도 인내를 가지고 구강내과나 정형외과등에 가셔서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1. 열치료

      적외선램프나 TENS, EAST 등의 방법으로 

      턱에 열을 가합니다.

      열을 가해주면 턱에 분포하는 혈관이 확장되게 되어 혈류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턱의 염증물질을 완화시키는 물질들이 잘 도달하게 되어 치료가 촉진되게 됩니다.

      2. 약물치료

      근이완제 (Methocarbamol, Baclofen, Eperisone, Tolperisone hydrochloride 등)

      항우울제 (TCA,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진통소염제 (Salicylates, Oxicam, Paraaminophenol, Propionic acid, Acetic acid, Celebrex

      제산제 (소염진통제 복용시 위점막이 손상이 가해질수 있어서 처방합니다.)

      등을 처방합니다.

      3. 턱관절을 안좋게하는 습관들을 교정하는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하품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체온이 높거나 실내 산소가 부족한 경우,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하품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잦은 하품은 몸이 피곤한 상태를 반증하는 것일 수 있으며,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평소 7-8시간 이상 충분히 숙면을 취해주시고 규칙적으로 스트레칭이나 운동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혀끝은 윗앞니 치아 뒤쪽에 대고 하품하시라 말씀드리기도 합니다.

      턱관절장애를 완화시키려면 일단 구강내과에 가셔서 상담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턱관절을 완화시키려면 평소 습관을 개선하셔야합니다. 

      단단하고 질긴음식을 드시면 안됩니다.

      (오징어, 땅콩, 갈비 등)

      아픈부위를 확인하려 입을 억지로 크게 벌리거나 옆으로 틀어보는 행위를 하면 안됩니다.

      턱부위를 따뜻하게 보호하셔야합니다. 

      이를 악무는 습관을 은연중에 가질수있으니, 이러한 습관을 피하셔야합니다.

      편한자세에서 혀를 입천장 앞쪽에 가볍게 닿아야합니다.

      위아래 치아는 닿지 않게 약간 떨어진 상태가 좋습니다.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 턱관절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니 정신적 스트레스를 잘 해소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네 하품을 하실때 입을 크게 벌리게 되면 턱관절에 좋지 않습니다.

      턱관절의 통증, 딱딱 소리, 자갈소리 등은 치아를 악무는 습관/단단한것을 드시는습관/스트레스/알콜/치열문제 등등 아주 많은 요인에 의해 나타납니다.


      기본적인 개선법을 말씀드리면

      1. 온찜질은 주기적으로 한다

      2. 단단한것을 먹지 않고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먹는다

      3. 나도 모르게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을수 있으므로 확인하고 고친다.

      4. 턱이 아픈지 안아픈지 확인하기 위해 이를 세게 물거나 하지 않는다.

      5. 입을 크게 벌리지 않는다. (특히 하품할때 입천장에 혀를 대고 하품하여 입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하품을 할때 턱을 너무 크게 벌릴 경우 턱관절이 탈구될 수 있습니다. 턱관절이 한번 두번 탈구되기 시작하면 습관성으로 재발될 수 있기때문에 의도적으로 탈구를 시키거나 탈구가 일어날 정도로 크게 벌리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턱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가동범위 이상으로 움직여 반복적으로 탈구가 되면 그로인해 턱관절부위의 디스크나 인대 구조의 변형 가능성도 있기에 조심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