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료할증 계산.복잡합니다..ㅜ
실비 25000원중 10000원은 급여
15000(상해.질병.3대비급여)은 비급여입니다
비급여 보험료 할증 200%이면
40000원으로 오르는게 맞나요?
상해로인한 비급여비율이 높은데요
상해 =지급 180만원(보험료 약1000원)
질병 =지급 18만원(약8000원)
3댑급여 =지급 12만원(약6500원)
이렇게 나왔는데요
1. 보험사에서는 비급여지급을 총200만원으로 보고
할증되나요?
2.아니면 비급여에서도 각각 지급된금액으로 퍼센트 나눠서 할증되나요??
자세히 아시는분 답변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현재 가입되어 있는 상품의 어플 들어가셔서 보시면 급여항목의 보험료과 비급여항목의 보험료 금액이 적혀 있을 겁니다.
여기서 비급여 항목의 계약일자 기준으로 보험금 지급 누계에 따라서 비급여 항목의 보험료가 할증 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자연 보험료 증가분하고 회사별로 손실료에 따른 할증율도 반영하여 차년도 보험료가 설정되고 통상적으로 계약월 기준 2달 전에 안내문이 발송됩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의 개인 청구에 따른 할증은
'비급여'만 해당합니다.
급여의료비를 얼마나 청구하던 할증은 되지 않습니다.
비급여 의료비 청구에 따라
비급여 특약 부분만 할증됩니다.
급여 의료비 10000원
비급여 의료비 15000원
에서 150만원이상 청구로 할증이 200% 된다면
급여 의료비는 그대로 10000원,
비급여 의료비는 45000원으로 할증됩니다.상해, 질병, 3대 비급여 특약이 각각 할증이 적용되는 방식은 아니며
통합으로 합산, 할증으로 통합으로 전부 오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보험의 경우 갱신형의 경우 초기보험비는 저렴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보험료가 갱신이 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에 반해 비갱신형의 경우 초기보험비는 비싸지만 일정하게 보험비가 가는 것이 특징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갱신형의 금액이 나의 보험을 활용한것 과 별개로 나와 비슷한 나이대, 그리고 나와 같은 성별의 사람들이 사용한 보험금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이 되는 기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1 네 비급여 지급 200만원을 보고 할증합니다. 전체지급액 합산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4세대 실손에서 개인별 차등제에 따라 보험료를 할인 유지 할증을 하는 것은 비급여가 대상입니다. 질문자님의 사례를 보면 상해 비급여 지급 180만원, 질병 비급여 18만원 3대 비급여 지급 12만원으로 총 비급여 지급액 200만원은 할증 등급 4단계에 해당하고 150만원에서 300만원에 해당해서 200% 적용이 됩니다. 즉 25,000원이면 보험료는 75,000원으로 오르는 구조인데요. 말씀하신 4만원은 할증이 100%일때이고요. 실제로 200% 할증이므로 3배수로 할증되는 것이 맞습니다.
2 항목별로 따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총합기준으로 할증 등급을 정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