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APPLEB
APPLEB

우리나라 배당금 정책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우리나라 배당금은 미국주식 보다 덜준다는 말을들은적이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배당정책은 다른나라에 비해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전세계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꼴찌수준으로 현재 배당과 자사수매입소각을 포함한 주주환원을 보면 30%프로도 안되는 29%수준이며 한국의 100대기업의 27.7%로 매우 낮은게 문제입니다.

    미국같은 경우는 현재 92%의 주주환원율을 보이고 있으며 선진국도 68% 신흥국도 37%수준으로 한국의 주주환원율은 꼴찌수준이며 자기자본이익률도 선진국이나 신흥국 평균에도 못미치는 7%대의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배당금 정책은 미국에 비해 다소 낮은 편입니다. 한국 기업의 배당 성향(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은 평균 20-30% 수준인 반면, 미국은 40-50% 수준으로 더 높습니다. 또한, 미국은 주로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하지만, 한국은 연 1~2회 배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한국 기업들이 주주가치를 중시하면서 배당을 늘리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미국의 안정적이고 일관된 배당 정책에 비해서는 부족한 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 배당성향은 미국에 비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 우선 유보금을 쌓는 기업이 훨씬 만큼 자사주 매입소각과 같이 주주환원에도 인색한 편입니다

    • 배당금을 높게 받으면 주주는 좋지만 오너 입장에서는 세금만 많아지기 때문에 그냥 유보금을

      쌓고 빼서쓰는 것이 더 이득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최근에 국내증시 밸류업을 위하여 세법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100대 기업의 배당성향과 같은 경우에는

    28%가 되지 않습니다.

    미국의 100대 기업은 배당성향이 약 35%가 넘는 등

    우리나라와 아주 큰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배당성향은 미국 등 해외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이며,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이 약 50% 내외라면(평균), 우리나라의 경우 20~30% 정도 수준밖에 안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한국의 배당금 지급률은 약 30% 내외로, 미국의 평균 배당금 지급률인 40% 이상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한국에서는 대기업들이 배당금을 늘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성장 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한국의 배당성향은 2020년 기준으로 20.1%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배당성향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에서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미국의 배당성향은 40% 이상으로 한국보다 2배 이상 높습니다.

    일본도 30% 이상으로 한국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은 회사의 잉여금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회사 수익 분배 문화에 있어 미국이 더 주주에게 높은 환원성향을 가진다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정책으론 세금 부과를 들 수 있는데, 미국은 15%, 우리나라는 14% 를 세금으로 부과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배당에 인색합니다.

    특히 미국에 비하면 아주 보수적인 편입니다. 주주의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은 극히 약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기업의 낮은 배당성향으로 투자제한하는 이유중에 하나입니다. 과거에는 일본이 낮은 배당성향을 보였으나, 최근 기업지배구조 개선 노력으로 배당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주주환원율(=자사주매입과 주당배당금)을 비교할 경우, 우리나라는 26.7%로, 미국·일본·대만과 비교해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주주환원율을 각국의 지수와 비교하면 미국 S&P의 3분의 1, 일본 닛케이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기업이 주주에 대한 배당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배당금 정책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 상장 기업들의 평균적인 배당성향은 26퍼센트로 이는 대만의 절반 수준 정도라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배당금 정책은 국제적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배당 성향이 낮은 편이라고 합니다.

    미국이나 유럽 국가들에 비해 배당금 지급 빈도가 낮고 배당금의 증가 폭이 작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배당금 지급을 늘리고 주주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고 하니 변화를 기다려봐야 될 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은 기업이 발생시킨 이익잉여금을 기준으로

    주주에게 환원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정하는 부분은 아니고

    기업은 운용 정책에 따라 바뀝니다.

    다만 해외 선진국에서는 배당소득에 대해 분리과서하거나 배당세가 아예 없기 때문에 배당친화적인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