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22

장보고가 세운 청해진은 그 당시 어떤역할을 하였나요?

한국역사에 해상전의 귀재로 알려진 두명의 인물이 있는데 장보고 장군과 이순신장군입니다.

장보고장군은 청해진을 세워서 바다의 안정화를 도모하였는데요 청해진이 군사적목적이외에 다른역할도 있었다고 아는데 어떤역할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청해진의 역할을 다음과 같습니다.

    828년(흥덕왕 3)에 설치되었다가 851년(문성왕 13)에 철폐되었습니다.

    완도(청해진)는 당시 신라와 당나라·일본을 잇는 해상교통로의 요지였습니다.

    삼면의 조망이 확 트이고, 수심이 깊어 선박을 대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태풍을 피할 수도 있는 자연적인 요지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해상교통로로는,

    첫째 중국산둥 반도[山東半島]에서 황해안을 건너 랴오둥 반도[遼東半島] 연안을 돌아서 압록강 하구나 그 남쪽의 연안지역으로 이르는 항로,

    둘째 산둥 반도에서 황해를 가로질러 강화도나 덕물도에 이르러 연안 각 하구로 통했던 항로가 있었다.

    셋째로는, 중국의 양쯔강[揚子江] 하구와 주변지역의 명주(明州)·양주(楊州) 등지의 동북에서 황해를 건너오거나, 또는 산둥 성 등주(登州)에서 동남으로 순항하여 흑산도 근해에 이르러 다시 한반도 연안의 각 포구로 항행하거나, 더 나아가 대한해협을 거쳐 일본 서부지역에 도달하는 항로가 있었다.

    출처: 네이버사전 청해진(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청해진을 통해서 무역 사업이 확장이 되고 대사나 외교관 호송 치안 감당 등 다양한 일을 하여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장보고가 세운 청해진은 조선시대에 건립된 주요 경비 요새이며, 불법 침략으로부터 수해를 방어하는 데에 쓰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는 일본의 여러 차례 침입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청해진은 인천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어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보고가 세운 청해진은 17세기 말에 조선시대 한양 인근에 건설된 조선 시대 최초의 해상 관문이었습니다. 당시 청해진은 해외와의 무역을 통제하기 위해 중요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또한 해외로 나가는 선박의 검사와 관세 징수를 담당하고, 조선의 해상 안보와 무역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청해진은 이후 한양과 해외 간의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세기 말까지 건설된 청해진은 조선시대 해상 관문의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사기에 보면 장보고가 흥덕왕에게 청원을 하는데 그 내용을 보면 당나라 해적들이 신라의 해안가 지역을 쳐들어 와서 신라 사람들을 잡아다 당나라 땅에서 노예로 판다고 그래요.



    그래서 그걸 근절시키기 위해 지금의 완도 옆의 장도란 섬에 대규모 군사기지를 건설하는데 그게 청해진의 시작 입니다. 그렇게 해서 해적을 제압은 했지만 언제든지 해적은 다시 생겨서 또 쳐들어 올수도 있고 가만히 보니 청해진의 위치가 중국과 일본을 뱃길로 오고가고 하는데 너무 좋다 보니 중계무역까지 하게 된 거죠.


  •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법화원등을 만들고 한국 중국 일본의 연결 고리를 구축하여 무역 정치적 문화적으로 활동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신라 흥덕왕 때의 장군 장보고는 해상권을 장악하고 중국, 일본과 무역을 청해진에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