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나나가 씨앗을 통한 번식이 더이상 안된다고 하던데 또 우리가 자주먹는 음식중 이런 식재료가 어떤것이 있을까요?
바나나가 씨앗을 통한 번식이 더이상 안된다고 하던데요. 전염병에 취약해서 이미 종의종류가 줄었단걸 알게 되었습니다. 또 우리가 자주먹는 음식중 이런 식재료가 어떤것이 있을까요?
바나나처럼 씨앗 번식이 어려워진 식물들은 주로 인간의 선택적 육종을 통해 씨앗이 없는 품종으로 개량되었기 때문입니다. 씨앗이 없으면 식감이 더 좋고 상품성이 높아 대량생산시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죠. 하지만, 자연 상태에서 스스로 번식하기는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바나나 외에 씨앗 번식이 어려운 식종으로는 귤이나 오렌지, 레몬 등 감귤류 등이 대표적입니다. 물론 씨가 있는 감귤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먹는 감귤류는 씨가 없거나 매우 적은 품종이 많습니다.
또 최근에는 씨 없는 포도 품종이 많이 개발되어 씨앗 없이 번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씨 없는 배 품종도 등장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농장에서 재배하고 있는 바나나는 씨앗으로 번식하는 것이 아니라 무성생식으로 번식하는데요, 바나나의 수꽃은 꽃가루를 만들어내지 않습니다. 바나나를 잘라내면 남은 그루터기에서 생장지(basal shoot)가 나와 자라는데, 농부들은 이 생장지를 옮겨 심는 방식으로 번식시킵니다. 바나나처럼 씨앗을 통한 번식이 더 이상 되지 않고 주로 무성생식을 통해 번식되는 식재료들은 몇 가지가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 전염병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바나나 외에도 우리가 자주 먹는 식재료 중 비슷한 방식으로 번식되는 식물에는 '감자'가 있습니다. 감자는 씨앗 대신, 덩이줄기(감자 덩어리)에서 싹이 나와 번식하는 방식으로 재배됩니다. 감자도 유전적 다양성이 낮기 때문에 전염병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19세기 아일랜드 대기근(감자 역병)은 감자의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 한 종의 감자가 질병에 의해 거의 전멸하면서 발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바나나는 대부분 무성생식으로 번식되며, 전염병으로 인해 품종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커피, 감자, 파인애플 등도 특정 품종에 의존해 있어 취약한 경우가 있어요
바나나처럼 씨앗을 통한 번식이 어려운 식재료로 대표적인 것은 감자와 고구마가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영양 번식, 즉 뿌리나 줄기, 덩이줄기로 번식하며, 특정 병해충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과일나무와 포도는 접목이나 꺾꽂이 방식으로 번식되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들이 많아 병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