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현재 엄청나게 가격 형성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2008년에 모 프로그래머가 만들었다고 하던데 만들어진 배경이 궁금합니다.
주식은 주식회사가 있고 실물이 존재하고 사람들이 가치를 평가하고 주식에 투자하는데
코인 같은 경우에는 코인에 대한 정보도 없고 실물도 존재하지 않고 말 그대로 가상화폐인데 화폐의 가치로도
현재는 인정이 되지 않고 있는 거 같습니다. 실체 없는 비트코인이 1억5천만원에 육박하고 이렇게까지 가격형성이 커졌는데, 초창기에 만들어진 목적이 있는지, 만들어진 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비트코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이름의 프로그래머가 중앙기관 없이 분산형 시스템을 기반으로 금융 거래를 가능하게 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과 중개자 비용을 줄이고, 개인 간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려는 혁신적인 시도가 담겨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의 거래는 중앙정부에서 책임을 져줍니다.
하지만 중앙정부가 기능을 못하게 되면 화폐도 결과적을로 쓸모가 없어지게 됩니다.
중앙정부가 없어도 가치를 유지할수 있게 해주는 화폐를 만드려고 하는 시도록 비트코인이 만들어 졌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른것은 그만큼 비트코인이 가치 저장수단으로 인정이 되고 있다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카시나카모토는 2008년 금융위기 발생하고 나서 중앙은행이 화폐를 스스로 통제하고 발행하는것에 의문을 가졌으며 또한 무제한적으로 통화를 살포할 수 있다는 점이 잘못됬다고 판단하여 스스로 화폐의 기능에 맞춰서 고안한게 바로 비트코인입니다.
그래서 이 비트코인을 특정 재단이나 어떤 중앙에서 통제를 하는게 아니라 분산원장인 블록체인시스템하에서 거래가 이우어지며 이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한 자들이 스스로 투표를 안건을 발행하고 이런 의사결정을 통해서 시스템 업그레이드등을 할 수 있도록 고안한 시스템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최초 2100만개 발행이 되도록 구조화하엿고 어떤식으로 채굴을 고안할까해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스스로 만들고 2009년 초에 스스로 먼저 작업증명방식으로 컴퓨터 리소스를 투입하여 채굴을 하고 이것을 커뮤니티에 공개하여 참여하도록 한게 바로 이 비트코인의 시작입니다. 즉 처음부터 화폐의 기능의 초점의 맞춰서 만들어져서 디지털화폐 암호화폐라는 이름이 생긴것이며 현재는 이 비트코인이 화폐의 목적이나 기능보다는 대체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더 부각되고 화폐의 기능은 거의 전무하다시피한건 아이러니한 상황이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비트코인이 최초 발행되었던 시기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등 미국발 세계 경기 악화가 발생되었던 시기입니다. 이 때 미국은 달러를 지속 발행하면서 경기 부양에 대한 조치를 취했으며 미국의 달러 발행으로 세계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미국이 달러를 무제한으로 발행하여 세계 경기를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 불편하게 생각했던 프로그래머가 달러의 대체 통화, 기축통화로 비트코인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