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노동생산성 낮다는 얘기, 무역업에도 체감되세요?

OECD 보고서 보니까 한국 생산성 낮다고 하던데, 사실 저도 무역현장에서 보면 인력 대비 처리해야 할 물량이 너무 많아서 효율이 안 나는 경우 많더라고요. 해외랑 비교해 보신 분들 있으신가요? 진짜 차이가 크던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무역업 현장에서도 생산성 낮다는 얘기 공감하는 분들 많습니다. 인력 대비 서류규제 처리량이 워낙 많고 시스템 자동화가 더딘 탓에 같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건수가 해외보다 적은 게 사실입니다. 선진국은 전자문서 표준화가 잘 돼 있어 반복 업무가 크게 줄었는데, 우리는 아직 기업세관은행 시스템이 따로 놀아 중복 입력이 많습니다. 그래서 체감상 효율 차이가 크게 느껴지고, 결국 인력 피로도와 비용 증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노동생산성 얘기가 추상적으로 들리지만 무역 실무에서는 꽤 체감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선적 서류 하나 처리하는 데도 시스템 자동화가 덜 되어 있다 보니 인력이 직접 확인해야 하는 단계가 많습니다. 같은 일을 해외 포워더에서는 몇 분 만에 끝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부서 거쳐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인력은 한정돼 있는데 수출입 건수는 늘어나니 야근이나 추가 비용으로 이어집니다. OECD 보고서에서 말하는 생산성 지표가 꼭 개인 역량 문제라기보다는 업무 구조와 행정 절차가 비효율적인 탓도 크다고 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맞다고 판단됩니다. 사실 말씀하신 상황이라면 생산성이 올라가야되는 것이 맞습니다. 적은 인원으로 많은 양의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비효율성이 발생하는 것은 프로세스 자체의 문제 혹은 업무설비의 노후화 혹은 인력의 능력 부족이라고 판단됩니다. 다만 해외와 비교하였을때 실무적으로 큰 차이를 체감한 적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근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낮다는 기사가 나온 바 있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8363922

    산업별/기업별 차이가 있겠지만 딱 체감되는 상황이라기보다는 우리나라 산업 전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되며, 이는 최근 근로시간의 단축과도 깊은 연계가 있으며, 전문가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노동생산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