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끈질긴관수리201
끈질긴관수리20123.02.18

미국 금리가 오른데 한국 금리는 왜 올리죠?

미국 연준에서 금리 인상을 하는데, 한국에서는 왜 따라 올리는 거죠? 만약 따라올리지않는다면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금리인상을 하지 않게 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바로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달러환율의 상승은 곧 우리나라 국내 경제에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상승하는 이유는 예시를 들어서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작년 한해 우리나라와 미국이 기준금리 격차가 역전되고 이 격차가 심화되면서 발생하게 되었던 가장 문제점이 바로 '달러환율의 상승'이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1금융권에서 금리를 4.5%를 준다고하며, 2금융권에서 금리를 3.5%를 준다고 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전하고 금리를 높게 제시하는 1금융권인 미국으로 투자를 하기 위해서 2금융권 자금(한국)을 인출하여 1금융권의 자금(달러)로 환전하여 투자를 하게 됩니다. 즉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서 달러의 가치상승과 함께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품 생산을 위해서 소요되는 원자재의 경우는 거의 100% 수입에 의존을 하고 있는 상황인데, 수입을 위한 기축통화인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원유, 리튬이나 구리와 같은 원자재의 가격도 상승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원자재들의 수입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제조기업들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면서 이는 곧 제품가격의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빠른 기준금리 인상은 우리나라에게 '금리인상' 혹은 '달러환율상승'의 선택을 하도록 강요하는 상황을 만들게 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한미 금리격차가 심해지고 이에따라 환율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환율 급등은 수입물가 상승을 일으켜 국내 물가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외국인 투자자금의 이탈을 유발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심화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달러는 가장 많은 국가가 사용하는 기축통화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게되면 자연스레 미국으로 자금이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기에 이를 방어하기위해 한국도 같이 금리를 올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미국과 우리나라 사이에 금리차가 커진다면 높은 금리로 국내에 투자된 자금이 미국으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원화가치 하락하고 원자재 등 수입물가 상승 등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는데 우리나라에서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돈 자체가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르게 되어 우리나라에 투자되었던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출될 우려가 커지게 되므로 어느정도 따라서 올리지 않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