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순수한왈라비143
순수한왈라비143

손등부터 파란색 부분이 다른 팔에비해 무감각하고 게임할때 저려요

오해하실 수도 있는데 손등이랑 파란 부분 "만"그렇습니다. 손바닥이 저리다거나 팔 안쪽이나 팔 자체가 저린게 아닙니다.. 특이사항으로는 손등이랑 파란부분에 바람이 불면 사악 저려지고요 1년전 정형외과에선 손등이 부었다고만 했습니다.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평소 게임을 즐겨 하신다면 마우스 스크롤을 하는 손가락과 관련된 힘줄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손목도 아프시다면 손목 터널 증후군도 있다고 봐야 하구요. 결국 마우스를 멀리 하시면 해결됩니다.

  • 유감스럽지만 말씀하시는 증상 및 통증 부위만으로는 정확하게 어떠한 문제에 의한 증상인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상지의 신경 쪽의 문제로 보이긴 하지만 정확한 상태 평가는 MRI 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서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신경과나 정형외과에서 보다 더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장시간 같은 자세로 마우스를 조작할 경우 해당 부위 인대나 근육에 염증등이 발생하여 통증과 불편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필요시 재활의학과에 내원하시어 진료 및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해당부위는 특정 말초신경이 지배하는 영역이 아닙니다.

    목 경추 신경쪽에 이상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팔이나 손등이 저린 경우에 신경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경추에서 부터 손목 손가락까지 이어지는 신경다발의 경로 중 어느 부분이 눌러지거나 손상을 입게되면 증상이 생깁니다.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해당 부위에 분포하는 신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보입니다.

    신경과 방문을 통해 신경전도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는 마우스 엘보우의 가능성이 있으며 장시간 컴퓨터나 마우스를 하고 있으면

    팔목이나 팔등이 저린 증상을 느낄 수 있으며 테니스엘보우와 같이 마우스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팔꿈치부터 그 아래의 척골 신경이 눌리면서 저리고 아픈 증상을

    느낄 수 있으며 컴퓨터 사용을 줄이고 마사지를 하거나 신경근 이완제 등을 복용

    하기도 하며 호전이 없는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등을 처방 받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목디스크일수 있으니 목디스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목디스크로 인해 팔이나 손등, 그리고 등이 결리거나  저리는증상도 생길수 있으니 유의하셔야합니다.)

    목디스크의 원인

    엎드려있는 시간이 많을때

    (엎드려자는것도 좋지 않습니다.)

    운전을 할때 목을 앞으로 빼고 운전을 많이 할때

    교통사고를 당했을때

    운동중 강하게 부딪혔을때

    목디스크의 치료

    목디스크를 유발시키는 요인의 대부분이 안좋은 습관입니다.

    엎드려있거나 목을 앞으로 두고 운전을 한다거나 하는등

    이러한 목에 힘이 가해지는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항상 목을 바르게 펴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악화될 경우 수술적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신경 자체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도 있겠습니다. 필요하다면 근전도 검사를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일단 충분히 휴식을 하면서 경과를 보시고 지속시 재활의학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