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아니 지금도 러브버그로 몸살인데요. 대량 생물체 대응방안은 어느정도인가요?
익충이라곤 하지만 너무 많은객체가 일부지역에서 대량으ㄹ 발생되어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었는데요. 이런 생물들에 대한 대응체계는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러브버그와 같은 대량 발생 생물에 대한 대응은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물리적, 환경적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질병을 매개하거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분류되지 않고 오히려 분해를 돕는 익충으로 간주되므로, 전면적인 살충제 살포와 같은 화학적 방제는 생태계 교란 우려로 인해 지양하는 편입니다. 따라서 주로 민원이 집중되는 지역에 물을 뿌려 개체 수를 조절하거나, 유충의 서식지인 낙엽 등을 제거하고, 방충망 설치를 안내하는 등의 제한적인 방식으로 대응 체계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러브버그처럼 익충이라도 대량발생시에는 지자체와 농림축산검역본우 중심으로 모니터링 및 국소방제 대응체계가 가동된다고합니다. 또한 사실러브버그는 몸에 산성성분이 많아서 사체가 금속류들을 녹일 수 있어 해충이라는 판단이 있기도합니다.
1명 평가현재 러브버그에 대한 대책 자체는 연구 중이긴 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러브버그와 같은 대량 생물체 발생에 대한 대응은 점차 전문화되고 다각화되는 추세입니다.
단기적인 방제와 더불어 중장기적인 연구개발, 유관기관 협력 강화, 그리고 친환경적인 접근 방식이 강조되고 있죠.
다만, 익충과 해충 분류의 명확화, 통일된 방제 지침 마련 등 개선해야 할 부분도 상당히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지자체와 정부의 대응이 엊박자를 이루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 같은 비병원성 대량 발생 곤충은 사람에게 직접 해를 주지 않아 방역법상 살충제 방제 대상은 아니며, 주로 유충 서식지 청소, 조명 관리, 차량 보호 코팅, 청소차 투입 등 생활방역과 환경관리를 중심으로 대응하며, 살충제 살포는 효과도 낮고 환경 피해가 커 거의 시행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지자체 환경부 긴급 방제팀이 고압수 분사, 빛, 끈끈이 트랩 설치 중인데요
특히 방역 약이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있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