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그럭저럭마른무궁화
그럭저럭마른무궁화

녹내장 말기에 가까워졌다고 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36
기저질환
녹내장

안녕하세요.

남자친구가 6개월 전에 녹내장 판정을 받았습니다. 좌안은 초중기라했고 우안은 말기 초입이라 했는데요. 남자친구는 현재 30대 중반이구요.

서로 미래를 약속했는데 부모님께서 젊은 나이에 녹내장 말기면 얼마 안가서 오른쪽 눈은 실명에 가까워질텐데 결혼은 힘들지 않겠냐고 반대하고 계세요..

일단 남자친구의 상태는 처음 진단받을 시기에 원발 개방각 녹내장이라고 했고 안압이 40이 넘었었고 양쪽 다 엄청 높았는데요. 지금은 약을 넣어서 6개월간 평균 16-18정도 나오고 있어요. 집에서 안압재는 기계로 재면 아침엔 조금 더 높긴해요.

대학병원에서 각막이 워낙 두꺼워서 실제로는 조금 더 안압이 낮을거라고 하셨고 6개월 전이랑 지금이랑 뚜렷하게 진행된건 없다고 하셨어요.

우안은 얼마전 섬유주?레이저 받았구요. 약은 간포트랑 심브린자 쓰다가 일할때 심브린자가 너무 졸려서 성분은 같은데 안졸린거랑 졸린거 나뉜걸로 처방해주셨어요. 이름은 모르겠어요..

시야검사했을때 잘나왔을때가 좌안이 72% 우안이 51%나왔습니다. (검사지를 볼줄몰라 이것만 적습니다ㅠ)

남자친구는 지금까지 약을 빼먹은적도 없고 살빼려고 식단조절도 하고 일주일에 4-5번은 고강도 유산고운동이 좋다고 달리기도 하고 필사적으로 관리하는데 정말 이렇게 관리해도 남자친구는 얼마 안가 실명이 될까요? 남자친구 정말 너무 늦은걸까요..

인터넷을 찾아봐도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하면 괜찮다는 말뿐이고 남자친구는 이미 조기에 발견을 못했는데 도대체 어떻게 해야할지 답답한 마음뿐입니다..

제가 부모님 마음을 모르는것도 아니라 죄송한 마음도 있고 뭐라 말씀을 드려야할지도 모르겠고.. 남자친구도 너무 안쓰럽고 곁을 떠날수가 없어요.

남자친구는 정말 얼마 안가서 실명이 되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녹내장과 관련된 상황에 대해 깊은 고민과 걱정을 하고 계신 듯합니다. 남자친구분은 현재 녹내장을 잘 관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 같아요. 일단, 녹내장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깝지만, 현재로서는 남자친구의 상태가 잘 관리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안압이 처음 진단받았을 때에 비해 많이 낮아졌고, 약물치료와 생활습관의 변화로 병의 진행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녹내장은 만성 질환으로,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관리하면 실명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남자친구분의 경우 이미 상태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진단받은 것이 맞지만, 현재의 치료가 병의 진행을 어느 정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압이 평균 16-18 정도로 유지되고 있고, 시야 검사에서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면, 지금으로서는 치료가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안압이 아침에 조금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은 주의가 필요하지만, 전반적으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녹내장을 관리하는 데 있어 약물치료는 매우 중요하며, 남자친구분이 약을 꾸준히 빠뜨리지 않고 복용하는 점은 긍정적입니다. 또한, 식단 조절과 유산소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의 변화도 안압을 조절하고 일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기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녹내장이 완전히 치료될 수 있는 병은 아니지만, 현재와 같은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를 통해 시력을 가능한 한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병원 방문을 통해 정기적으로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치료를 꾸준히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현재의 치료와 관리 방법에 신뢰를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분의 고민 또한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남자친구분이 가능한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을 부모님께 진심으로 전해드리면 좋겠습니다. 남자친구분의 상태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그리고 함께 밝은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서로 지지하고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