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냉정한고니157
냉정한고니15723.01.18

최초의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나요?

우리가 요즘 코로나로 고통 받고 있잖아요. 코로나도 바이러스인데 문득 바이러스의 시초가 무엇인지 궁금해집니다. 최초의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8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건 세포가 퇴화되어 바이러스화 했다는 논리인 세포퇴화설이 있고

    세포속 RNA나 DNA가 따로 분리되어 바이러스가 되었다는 세포탈출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최초의 바이러스는 밝혀진게 없습니다. 다만 진화론에 의해서 이 역시 진화의 산물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체 중 유일하게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바이러스입니다.

    물론 D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만...

    이러한 측면 때문에 한 때 학계에서는 바이러스가 지구상에 최초의 생명체가 아니냐란

    말이 있었지만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절대 세포내기생성)을 살펴 볼 때에는

    최초의 생명체가 될 수 없다란 결론이 나옵니다.

    결론 부터 말하면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만

    이러한 이론도 있습니다. 진화나 퇴화가 아닌 한 생명체의 세포소기관의 일부분이

    유리된 것이 바이러스의 시초라고 보고 있습니다. 많은 바이러스학자들이 이 이론에

    많은 공감을 하고 있는데 그러한 이유는

    1.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숙주에게 해를 입히지 않는다.

    ( 숙주전이를 한 바이러스는 새로운 숙주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킨다. 즉 해를 입히지 않는다란 것은 숙주가 바이러스에 대해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란 의미이다. 대부분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 숙주의 과잉면역반응에서 유래)

    2. 바이러스와 숙주의 유전체 구조가 상당히 비슷하다.

    (이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기도 하지만 바이러스의 유전체 복제는 숙주의 것을 완전히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유전체 구조가 비슷할 수 밖에 없다.)

    3. 바이러스의 숙주는 정해져있다.

    (광견병 바이러스같은 일부 숙주범위가 넓은 바이러스도 있고 현재 조류독감이란 바이러스가 인간에게도 퍼지고 있으나 이것은 돌연변이에 의한 기작에 의한 것이며 대부분의 바이러스의 숙주의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다.)

    4. 바이러스의 감염부위가 정해져있다.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부위는 정해져있다. 예를 들어 AIDS를 유발하는 HIV는 CD4 T cell에 인플루엔자는 호흡기점막세포에, 자연적 세포내 감염은 열쇠와 자물쇠 관계이므로 어느 항원물질이나 세포내로 함부로 침투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