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귀여운봉고118
귀여운봉고118

음식을 많이 섭취할때에 숨이 가쁘고 숨쉬기 힘들어요. 무슨 병원을 가야하나요?

나이
36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모낭염치료목적 소염제, 고덱스
기저질환

연말 회식에 고깃집에서 고기를 섭취하는 도중에

숨쉬기 힘들고 산소가 부족한 느낌을 크게 받아

119에 전화를 해야하나 고민했었습니다.

다행히 약 20분의 시간이 지속된뒤에

안정되긴 했지만 그로인한 불안감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긴 상태입니다.

비슷한 증상이 지속된 기간은 약 1년 정도입니다.

소화기능에 문제인지

정신과적인 문제인지

무엇이 잘못된건지 건강상에 문제에 대하여 궁금한데

위 사유로 인하여 진단을 받아보고자 한다면

어떠한 병원을 먼저 방문하여야 하는지

어떠한 진찰을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과식으로 인한 복부 팽만감으로 호흡곤란을 느꼈던것 같습니다.

    우선 과식을 피해주셔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일단 과식에 의한 호흡곤란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되겠지요. 평소에 소식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식사와 상관없이 숨이 차다면 심장이나 폐의 문제를 확인해 보시구요. 동네 내과나 가정의학과 가시면 차근히 검사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복부 등이 벨트, 옷 등에 의해 압박되는 상황이 아니었는지 확인이 필요하겠으며

    내과에 내원하시어 위장염의 가능성에 대해 진료 후 이상소견이 없으시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소화기 계통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과식이나 특정 음식에 대한 민감성으로 인한 위장의 팽창이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진단을 필요로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음식을 많이 섭취할 때 숨이 가쁘고 숨쉬기 힘든 증상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화기계 질환 : 위식도역류질환, 식도염, 위염, 십이지장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음식을 섭취하면 위산이 역류하거나, 위장 점막이 염증을 일으켜, 숨쉬기 힘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심혈관 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여, 숨쉬기 힘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폐 질환 :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산소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숨쉬기 힘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정신과적 문제 : 불안 장애, 공황 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숨쉬기 힘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증상이 1년 정도 지속된 것으로 보아, 소화기계 질환, 심혈관 질환, 폐 질환 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먼저 내과, 가정의학과,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등의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증상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흉부 X-ray : 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심전도 : 심장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심장초음파 :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자세히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위내시경 : 식도, 위, 십이지장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받거나, 다른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 정황 상 보았을 때에 스트레스를 받았던 상황이 기억에 각인이 되어서 반복되어 보이는 심리적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렇지만 혹시 모르므로 우선 소화기내과적으로 진료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적절하겠으며, 이상이 없으면 그 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