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까칠한사랑새8
까칠한사랑새8

아이가 짜증낼 때 부드럽게 말하기 보다 엄하게 말하면 더 잘 듣는데요...

요즘 아이가 너무 짜증스러워서 고민스럽습니다.

유투브 찾아보면 전문가들은 짜증을 짜증으로 받아서 휘말리지 말고

평정심을 갖고 그냥 기다려주면 알아서 그 감정을 다스릴수 있도록 시간을 주라고 하더라구요.

짜증을 타인의 짜증으로 눌러서 진정시키는 경험이 쌓이면, 짜증을 다스리려면 점점 더 큰 외부의

자극이 있어야 짜증을 진정시킬 수 있게 되니 절대 짜증을 짜증으로 받아치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너무 맞는 말 같아서 그렇게 해보려고 하는데요.

전문가들 말대로 조용히 기다려줘도 짜증내는 시간이 계속 길어져요.

저 들으라는 듣이 점점 더 커져요.

예를 들어 외출했다 돌아와서 킥보드가 현관 문턱에 걸렸어요. 그때부터 계속 짜증입니다.

문턱에 걸려서 아이씨 이거 왜이러는거야~를 시작으로 하나하나 다 짜증스럽게 투덜거리고

행동합니다. 이미 짜증이 난 상태라 거칠게 행동하니 다 잘 안되는거죠. 신발이잘 안벗겨져서, 장갑이 잘 안벗겨진다고, 마스크가 잘 안벗겨진다고, 외투가 잘 안벗겨진다고...계속 짜증이 이어져요.

제가 덤덤하게 괜찮아 그럴수도 있어~ 라고 말해줘도 계속 짜증 이에요..

또 다른 상황에서 짜증이 길어지길래 저도 듣고 있기 괴로워서

그게 그렇게 다 일일이 짜증이 나?!!! 하고 좀 무섭게 말했더니, 얌전해 지더라구요.

너무 답답해요....

아무말 없이 기다려주는게 맞는 방법인가요? 집에서는 그렇다쳐도

밖에서 남들 보는데서 그러는 거 너무 창피합니다...

좋은 방법 좀 알려주세요. 7세입니다.

전문가다운 진정성 있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진짜 너무 고민이에요.

안해도 그만인 그저그런 형식적인 성의없는 답변은 미리 사양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는방법이잘못되었어요

      짜증날때 기다리란건아무말없이기다리라는겁니다

      짜증날때 그냥 듣지않고무반응하기

      짜증도하나의감정입니다

      일반적으로짜증이나고다안되는데

      누가옆에서 그럴수있어 잘안되는건 맞어

      라고하면

      놀리는것같고

      자기는잘하고싶은데안된다는걸 인정해야되니

      더짜증나고 화날뿐이니

      잘못된자극을주는거랍니다.

      기다리라는건 스스로짜증내다 스스로진정하게 기다리는거고

      아이가진정되면그때

      감정을진정한걸다독이라는것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낸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짜증을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짜증을 내면서 말을 하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인지를 시켜주세요.

      또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예쁜 말로 조곤조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야 함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시기에는 짜증이 느는식이며

      자기 자아가 분화되는시기여서 스스로하는 활동에 대해서 짜증이나 반항심이 커질수있습니다.

      너무 짜증을 많이 낼떄는 반응을 하지 않는것이 좋을수있습니다

      괜찮아 그럴수있어 라고 하는것도 아이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자극적인 반응으로 볼수있기에

      이럴땐 (부모의 입장에서) 공감적인 반응을 하지 않는것이좋습니다.

      다만 아이의 행동이 거칠어지고 멈추지 않을때는 아이의 손을 잡고 제압해주시면서 짜증을 내는것은 안된다고 이야기해주시는것이좋습니다.

      이시기에는 이러한감정조절을 배우는시기로

      부모가 스트레스를 받고 많이 감정소모가 클수있지만

      시간이지나다보면 점차 스스로조절을 하고 감정에 대해서 괜찮아질떄가 올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훈육방식에 있어 엄하게 훈육하는 방법은 일시적으로

      아이가 두려움에 의해 행동을 교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대화를 통해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아이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하시는 과정이 보다

      훈육에 있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