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내륙에는 과거 문명국이 전혀 없었나요?
아프리카 대륙에서 지중해 해안가에 위치한 , 이집트, 카르타고(리비아)는 로마 역사에서 종종 등장하는데,
아프리카의 내륙 지방에는 문명국이 전혀 없었나요?
하다못해 유적지나 유물도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내륙 지방에는 문명국이 사실상 없었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나라들이 후진국이거나 내란에 휩싸여 있거나 하는 중, 니제르, 차드 등등 ) 다만 유적지나 유물의 경우 존재하는 나라도 있었다고 볼 수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아프리카 내륙에 있었던 문명국가를 소개해 드립니다.
쿠시 왕국
쿠시 왕국은 나일강 상류 지역, 오늘날 수단
의 일부에 위치했던 강력하고 독창적인 문명
으로, 고대 이집트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오랜 기간 동안 교류와 경쟁을 지속했습니다
이 왕국은 이집트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
인 문화를 발전시키며 아프리카 내륙의 중요
한 중심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축 양식을 차용하여 독특하고 작
은 규모의 피라미드들을 건설했으며, 이는 오
늘날에도 메로에 지역에 남아 쿠시 왕국의 건
축적 유산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쿠시의 수도
였던 메로에는 철기 생산과 상업 활동의 중심
지로 크게 번성했습니다. 이곳은 뛰어난 제철
기술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전역과 교류하며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했습니다. 쿠시 왕국은
지중해 세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연결
하는 중요한 교역로 역할을 하였고, 금과 상아
과 같은 귀중한 자원을 교역하여 경제적 번영
을 이뤘습니다. 이러한 번영은 고유한 예술과
건축 양식뿐만 아니라 정치적 안정과 문명의
발전에도 기여했습니다.
그레이트 짐바브웨
그레이트 짐바브웨는 남아프리카에서 번성
했던 고대 도시로, 독창적인 석조 건축물과
뛰어난 기술력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도시는 오늘날 짐바브웨 공화국의 이름의 기
원이 되기도 했으며, "크고 높은 집"이라는 뜻
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그 당시 이 지역 문명
의 위엄과 독특한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
다. 고대 그레이트 짐바브웨는 그 규모와 정
교함으로 아프리카 고대 문명의 탁월함을 상
징하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도시의 가장 두드
러진 특징은 거대한 석벽과 탑으로, 돌을 접
착제 없이 쌓아 올린 정교한 건축술은 이 문
명의 기술적 역량과 창의성을 입증합니다. 특
히, 거대한 언덕 요새와 대규모 원형 구조물
은 단순한 거주지를 넘어 정치와 종교, 사회
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했던 이 도시의 위상
을 보여줍니다. 이 구조물들은 자연환경과 조
화를 이루면서도 견고함과 아름다움을 동시
에 갖추고 있어 많은 학자와 연구자들의 찬사
를 받고 있습니다.
말리 제국
말리 제국은 서아프리카에서 형성된 거대한
제국으로, 사하라 사막을 가로지르는 무역로
의 중심지로 번성했습니다. 이 제국은 13세
기에서 16세기 사이에 존재하며, 당시 아프
리카 대륙에서 가장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국
가 중 하나로 꼽혔습니다. 금, 소금, 상아와
같은 귀중한 자원을 교역하며 막대한 부를 축
적했고, 이를 통해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 번
영을 이루었습니다. 말리 제국의 황제 중 가
장 유명한 인물은 만사 무사로, 그의 부와권
력은 전 세계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그는 14
세기에 메카로 순례를 떠나며, 길을 따라 금
을 대량으로 나눠주는 행위로 전설적인 이야
기를 남겼습니다. 이로 인해 만사 무사는 세
계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 중 하나로 기록되었
으며, 말리 제국의 위상은 당시 아프리카를
넘어 유럽과 중동에서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
습니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 문명 이외에도 노크 문화도 중요한 문명으로 간주됩니다. 노크 문화는 나이지리아 지역에서 약 3500년 전인 기원전 1500년경에 시작되었습니다. 독특한 테라코타 조각과 철기 사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사라하 사막 이남엣 발전한 최초의 문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