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의 상하한가 제도가 자본유입에 방해
국내주식의 상하한가 제도가 투자자를 보호한다고 하는데 자본유입의 방해가되면서 오히려 투자자들을 의도적으로 묶어놓을 수 있는 문제가 더 큰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하한가 제도가 투자자를 보호하는건 사실입니다 미국이나 유럽 증시에는 개별 상하한가 제도가 없긴하죠
그렇다고 자본유입에 방해가 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개별주식 상하한가 제도가 우리나라 보다 더 타이트하지만 최근 몇년 크게 증시가 외국자본 유입으로 크게 오르기도 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도 올해 코스피가 크게 올라 연일 사상최고치를 갱신하는 상황이구요 상하한가 제도로 오를 주식이 안오른다는 생각은 안들거든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상하한가 제도 얘기 나오면 투자자들 시선이 갈립니다. 업계에서는 단기 과열을 막아주는 안전판이라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투자금이 들어오는 흐름을 보면 제한 때문에 오히려 해외 자본이 주저한다고 합니다. 뭐랄까 안전장치가 족쇄처럼 느껴지는 순간도 있다는 거죠. 제 생각에는 보호라는 명분도 중요하지만 시장 유동성을 막을 정도라면 손을 봐야 한다고 봅니다. 직접 주식 해본 입장에서 추천드리자면 변동성 완화 장치만 남기고 상하한가 폭은 더 유연하게 가져가는 게 현실적이라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주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분명 어느 한편으로는 시장도 보호하고 투자자도 보호한다고 하지만
말씀대로 반대 시각으로는 자본 유입을 방해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상하한가 제도는 투자자의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시장의 가격 발견이 어려워지고 투자자들의 투자 또한 지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하한가는 급격한 변동을 막아 투자자 보호를 도모합니다.
하지만 해외투자자입장에서는 유동성제한으로 불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는 제도 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럴수 있습니다. 상한가 하한하 제도가 없다면 더 큰 변동성을 띌수 있기 때문에 주식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수 있고 차익 실현을 노리는 자금이 코인 시장이 아닌 국내 주식 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 상하한가 제도는 과도한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특히 개인 투자자를 보호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질문자님 말씀대로 오히려 시장의 자본 유입과 효율성을 저해하며 투자자를 의도치 않게 묶어둘 수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주가가 정보에 즉각 반영되는 것을 막아 가격 발견 기능을 제한하고, 하한가에 묶이면 손실 확대를 막기 위한 매도조차 할 수 없게 만들어 투자자들의 즉각적인 대응을 막는다는 점 때문에 투자자 보호와 시장의 자유로운 흐름 사이에서 어떤 균형점을 찾아야 할지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정확한 지적입니다. 실제로 글로벌 기관투자자들, 특히 헤지펀드나 대형 펀드들은 상하한가 제도를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들은 급격한 시장 변화 시 즉시 포지션을 조정해야 하는데, 상하한가로 인한 거래 중단은 리스크 관리를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실제로 MSCI나 FTSE 등 글로벌 지수 편입 과정에서 상하한가 제도는 지속적으로 개선 요구사항으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상하한가 제도는 시장의 자연스러운 가격 발견 과정을 인위적으로 차단합니다. 중요한 정보가 발생했을 때 시장 참가자들의 즉각적인 반응이 제한되기 때문에 결국 선진국 시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주요 선진국의 상하한가제도가 없듯이 국내에서도 결국에서는 사라져야 할 제도이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부분도 충분히 일리있습니다. 미국과 같이 제한 없는 경우 대비 제한도 있구요.
다만 우리나라도 연속 상한가 통해 미국 단기상승 이상의 상승을 오히려 길게 가져가는 경우도 많으며, 손실 제한의 긍정제 부분도 크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