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비상한박쥐153
비상한박쥐153

인간의 후각수용체 퇴화 진화론적 이유?

아주 옛날에는 독을 구별하기 위해서 맛보고, 향을 맡아서 그것을 구별하는데

현재는 그런 것들을 구별할 필요 없이 음식을 바로 사니까 우리의 후각이 퇴화되었다고 볼 수 있을까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시각이 발달하고 후각이 퇴화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양식에서 변화가 왔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다른 동물들과 다른 행동양식이란 바로 직립보행이다. 이 직립보행이 인간이 다른 포유류와 다르게 진화를 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네 발로 다니다가 두 발로 서서 다니게 됨으로써 전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보게 됨으로써 시각의 발달이 필요하게 되었고, 코가 땅에서 아주 멀어지다보니 먹이를 탐색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던 코의 역할이 점점 줄어들면서 퇴화의 길에 들어서고 먹이 탐색의 기능은 시각에게 자리를 내주게 되면서 시각은 더욱 더 발달하게 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인간 후각의 퇴화 - 진화적 측면|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후각수용체가 퇴화하는 이유에 대한 진화론적 주장은 여러가지입니다.

      인간은 직립보행을 하면서 시각이 더욱 발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후각의 필요성이 점차 약화되어 후각이 퇴화하게 되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후각수용체는 진화 과정에서 변화하였는데, 특정 냄새를 느끼는 민감도는 개인마다 다르며, 이는 후각 수용체의 변화 때문입니다. 그 결과 진화가 진행될수록 냄새 민감도가 둔해질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은 아직 과학적으로 완전히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독성 식물이나 상한

      음식을 구별하기 위해 맛

      보고 향을 맡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가공 식품 포장 냉장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직접 음식의 안전성을 확인할

      필요가 줄어들었습니다.

      과거에 비해 후각을 사용할 기회가 감소한

      것은 사실입니다.

      이것을 단순히 후각 능력의

      퇴화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인간의 후각은 여전히 다양한 향기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하지 않더라도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현대 사회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후각을 사용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향수 아로마 테라피

      와인 시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후각을 즐기고 활용하는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후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후각을 이용한 질병 진단 치료 인공 향료 개발 등 다양한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의 후각 사용 방식은 다르지만 이

      것을 후각 능력의 퇴화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인간은 여전히 다양한 향기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후각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